d라이브러리
"정의"(으)로 총 1,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먼저 쏘고 한 솔로가 반격하는 것으로 바꿨다. 그 결과 한 솔로가 뒷골목 양아치에서 정의를 위해 싸우는 인물로 점차 바뀌어가는 캐릭터 설정에 흠이 생겼다. 장면 자체도 조악해서 루카스는 욕을 많이 먹었지만, 지금까지도 끝내 되돌리지 않고 있다. 결국 “한이 먼저 쐈다(Han Shot First)”는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흥미로운데요. 기계화된 존재는 작품에서 ‘오토마톤’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정의했습니다. 그리고 모든 오토마톤은 인간과 동등한 존재라고 보셨고요. 인간으로서의 정체성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그런데 몸을 기계로 교체하다 보면 어느 순간 자신이 인간인지 로봇인지 구분할 수 없게 되는 ... ...
- [매스크래프트] 할그림스키르캬, 마크로 적분 배워봤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독일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은 구분구적법과 극한을 활용해 ‘적분’을 엄밀하게 정의했어요. 적분은 구분구적법으로 함수의 넓이를 계산할 수 있도록 수식화한 방법으로, 함수의 그래프를 그렸을 때 끊어지는 부분이 없다면 특정 구간에서 그래프와 x축이 만드는 영역의 넓이를 구할 수 있죠. ... ...
- 인류가 좀비 바이러스에서 살아남는 법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좀비가 함께 살 수 있는지 연구했다.먼저 좀비를 야생 좀비와 길들인 좀비로 나눠서 정의했다. 야생 좀비는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돼 인간을 공격하는 좀비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좀비를 말한다. 길들인 좀비는 야생 좀비와 똑같이 인간을 공격하려는 좀비의 습성은 가지고 있지만, 손과 입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서로 당기는 힘’ 혹은 ‘지구가 질량이 있는 물체를 잡아당기는 힘’이라고 중력을 정의하며 물체가 땅으로 떨어지는 것은 중력 탓이라고 설명했지요. 하지만 붙어 있지도 않은 물체가 서로 어떻게 잡아당기는지는 알지 못했어요.이에 독일 출신의 미국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1916년 ... ...
- 게임이용장애란 질병이 생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8호
- 새로운 질병으로 인정했습니다. WHO는 인류의 건강 수준을 높이기 위해 감기 같은 질병을 정의해 ‘국제질병분류’를 만듭니다. 국제질병분류는 전세계 나라들이 참고해 의료 정책에 반영하며, 의학자들이 연구를 할 때도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게임이용장애는 WHO가 국제질병분류 11차 개정안을 ...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변하는 함수로 나타내 그 함수를 추적하는 방법이지. 점들을 모두 찍을 필요 없이 함수만 정의하면 돼서 코드로 표현하기도 쉽고, 빠르게 계산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그리고 함수를 조금씩 변형하면 곡면이 두 개로 갈라지거나, 합쳐지는 등 모양이 바뀌는 것도 쉽게 구현할 수 있지 ... ...
- [따끈따끈한 수학] 4색 문제의 확장판! 하트비거의 추측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꼭짓점의 집합 V와 V의 원소 두 개로 구성한 선을 모아놓은 집합 E의 순서쌍 (V, E)로 정의합니다. 지도의 각 나라마다 꼭짓점을 그리고, 두 나라가 국경을 맞대고 있으면 두 꼭짓점 사이에 선을 연결해서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 이때 선을 잘 그리면 서로 다른 두 선이 서로 교차하지 않게 지도에 ... ...
- 굿바이 2019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기술에 대한 논란을 불러왔고, 죽은 돼지의 뇌세포 부활은 삶과 죽음에 대한 생물학적인 정의를 곱씹게 했다. 과학동아는 동아사이언스 기자 29명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해 올해 과학기술 분야에서 가장 주목받은 뉴스를 선정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굿바이, 2019Part1. 2019 과학기술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이런 관점에서는 뇌세포의 부활을 삶과 죽음, 또는 그 경계 중 어느 하나로 정의하기 어렵습니다. 또 이미 죽은 뇌세포를 인위적으로 되살린다는 점에서 생명 윤리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