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육체
몸
체격
육신
체구
골격
인체
d라이브러리
"
신체
"(으)로 총 2,004건 검색되었습니다.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정의도 곱씹어 보게 했습니다. 그간 생물의 삶과 죽음의 경계는 뇌 기능 상실과
신체
장기 순환능력 상실로 구분해왔습니다. 이런 관점에서는 뇌세포의 부활을 삶과 죽음, 또는 그 경계 중 어느 하나로 정의하기 어렵습니다. 또 이미 죽은 뇌세포를 인위적으로 되살린다는 점에서 생명 윤리에 관한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그 사람들이 선호하는 운동일수록 페로몬 농도가 높겠죠? 결국 나와 비슷한
신체
정보를 가진 개미를 여러 길 위에 풀었을 때, 가장 페로몬 농도가 높은 길을 제게 추천해주는 겁니다. 오늘은 저와 비슷한 개미들이 ‘1시간 30분 동안 자전거 타기’를 추천하네요! 전 어서 운동하겠습니다. 휙~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정강이에서는 찰과상과 타박상이 발견됐다. 이들 부위는 앞으로 넘어질 때 땅바닥에
신체
가 닿는 부위다. 특히 정강이의 찰과상은 넘어진 뒤 움직이면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손상이다. 그렇다면 이런 손상은 변사자가 스스로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이번에는 변사자의 행적을 조사했다. A 씨는 사망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부츠처럼 구부러져 자연스럽게 걸을 수 있도록 했다. 특히 xEMU는 남녀 구분 없이
신체
조건에 맞춰 입을 수 있도록 가슴과 허리둘레를 조절할 수 있게 설계됐다. NASA는 임무를 수행할 우주 비행사가 결정되면 존슨우주센터에서 몸 전체를 3차원(3D) 영상으로 촬영한 뒤 개인의 자세와 움직이는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팽창해서 세포막을 파괴하기 때문에 다시 살아날 수 없다. 가장 유사한 사례를 찾자면
신체
를 급속히 얼려 보관하는 냉동인간 연구가 있다. 특히 불치병 환자를 냉동했다가 치료법이 발견되면 그때 다시 해동시켜 병을 치료하겠다는 시도가 꽤 이뤄지고 있는데, 현재 과학 수준으로는 절망적이다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인간으로 인정을 받습니다. 반면, 레플리컨트는 인간과 동급의 지적 능력과 더 우월한
신체
적 능력을 지니고도 도구 취급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족쇄 같은 짧은 수명에서 벗어나려고 창조자까지 찾아가지만, 원하는 바를 이루지 못하고 생을 마감합니다.영화를 보면 레플리컨트가 데커드로부터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낮아지는 경우를 저산소(hypoxia) 상태라고 한다. 동물은 생존을 위해 저산소 상태에서도
신체
가 적응할 수 있도록 발달했다. 많은 연구를 통해 동물은 심혈관계의 활동을 조절해 산소농도에 대응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대표적으로 벨기에의 생화학자 코르네유 하이만스가 밝힌 경동맥체가 있다.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질병 진단의 패러다임 전환 스마트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연구원이다. 다양한 소재들의 고해상도 3차원(3D) 프린팅을 이용해
신체
표면에 붙이거나
신체
내부에 삽입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개발하고 있다. younggeun@wearablelab ... ...
두려움에 맞서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주행을 하며 실험 참가자의 심박 수를 재고 손에 땀이 나는지를 측정했어요. 실험자의
신체
변화를 감지하며 위험한 주행의 유형을 배운 인공지능은 가상 주행 시험에서 충돌 사고가 25% 감소했답니다.공포 기억을 없애자무서운 꿈을 꾸었나요? 아직도 심장이 두근두근 가라앉지 않는다고요? 그러면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
검사 받던 날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포획했다. 황소개구리는 대표적인 생태계 교란 외래종이다. 두 연구원이 이날 포획해 ‘
신체
검사’를 마친 금개구리는 총 46마리. 꼬박 4시간이 걸렸다. 이렇게까지 공들여 조사하는 이유가 뭘까. 이 책임연구원은 “유생(올챙이)에서 첫 동면에 들어가기까지가 금개구리의 생존에 가장 중요한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