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계"(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형모듈원전(SMR), 기후위기 구원투수될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미국 등 국가에서도 이 같은 심지층처분장 건설이 논의되고 있다.뉴스케일파워는 지난해 설계인증을 받은 데 이어, 2023년 건설·운영 허가를 신청하고 2025년까지 허가 취득 후 2029년 상업 운전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제9차 원자력진흥위원회에서 혁신형 SMR 개발을 ... ...
- [과학동아 x 긱블] 우리 이번엔 좀 진지하다, 영화 ‘업’ 하우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높이까지 올라가는 방식입니다.그럼 당연히 집을 올리거나 내려줄 장치가 필요하겠네요. 설계를 맡은 잭키 님은 그 핵심 장치로 승강 모듈인 ‘윈치’를 떠올렸습니다. 윈치는 엘리베이터에 많이 사용되는 장치로, 끈과 연결된 고리를 물체에 걸어 동력기로 당깁니다. 잭키 님은 이를 이용해 집을 ... ...
- 폴리매스 정보통! 로블록스로 창의력과 수학 실력을 한 번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스튜디오로 나만의 공간을 만들다 보면 공간지각능력이 느는 것 같아요. 3D 공간을 설계하다 보니 축이 3개인 좌표에 대한 개념도 익힐 수 있죠. 이번 강연에서는 스튜디오 사용법에 대해 중점적으로 배웠다면, 다음번에는 루아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방법을 더 자세히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22화. 수학 체험관에 진심을 담은 사람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앞서 소개한 두 전시관과 비교하면 전통적인 형태로, 오감 체험을 중심으로 설계된 박물관입니다. 수학과 친해지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재밌게 즐기는 것이라고 신디와 운영자들은 생각합니다. 그래서 국립수학박물관의 전시물은 수학을 몰라도 재밌게 체험할 수 있는 놀이기구로 이뤄져 있습니다. ...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돼 실패한 경험 등이 큰 교훈으로 남아있다”며 “최대한 당시의 시행착오를 반영해서 설계했다”고 말했다.2012년까지만 해도 한국은 우주발사체를 한 번도 개발한 적이 없는 나라였다. 연구용 관측로켓이었던 과학로켓(KSR) 시리즈를 발사한 경험이 전부였다. 2005년 러시아와 국제협력을 통해 ... ...
- [JOB 터뷰] 꿈을 조립한다! 국내 최초 레고 공인 작가 김성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없는 긴 천장 내부에 단단한 철제 기둥을 심었어요. 천장이 무너지지 않도록 계산해 설계했죠. Q 어과동 친구들에게 한말씀 부탁해요.꼭 공부가 답은 아니에요. 저는 열심히 공부해서 한국과학기술원을 졸업하고 대기업에 입사했어요. 하지만, 제가 하고 싶은 일은 따로 있더라고요. 좋아하는 ... ...
- 탄소중립 달성, 눈속임 넘어 실질 감축 이뤄야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관측하고 있는 인공위성을 운용하고 있는데, 미국의 OCO-2는 설계부터 운용이 종료될 때까지 약 4억 6770만 달러(약 5223억 원)의 비용이 들것으로 추정된다. 지상에서 설치하는 이산화탄소 측정기도 값이 만만치 않다. 이산화탄소 측정기 한 대당 1500만~1억 원을 훌쩍 넘는다.그러나 ... ...
- 야생동물 구조작전 feat. 장마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만든 배수구에서 일제히 물을 내뿜고 있었다. 동물이 머무는 공간에서는 배수구를 넓게 설계할 수 없다. 자칫하면 동물이 배수구를 통해 탈출할 수도 있고 외부에서 포식자가 들어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른 곳보다 배수구가 좁다 보니 비 피해가 더 컸다.동물들도 적잖이 당황한 모습이었다. 눈을 ... ...
- [이공계 인터뷰] 첨단산업의 출발점 반도체 엔지니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것이다. 반도체 엔지니어를 꿈꾸는 청소년들이라면 더욱 그렇다.최 TL은 “최근 반도체 설계에서 인공지능(AI)의 역할이 커지는 것처럼 앞으로 반도체 엔지니어가 갖춰야 할 능력은 지금과 달라질 것”이라며 “우리 앞에 또 어떤 변화가 찾아올 지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지금부터 새로운 분야에 ... ...
- [특집] 고수의 조언 4 기술로 따스함까지 전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늘어남, 압력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광섬유로 피부 센서를 만들어 3D 프린터로 설계한 장갑과 결합했지요. 연구에 참여한 안현석 연구원은 “이 장갑은 압력을 느낄 수 있어 의수에 사용되거나 가상현실에서 너트를 얼마만큼 조여야 하는지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