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뇌
d라이브러리
"
대뇌
"(으)로 총 47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과학이 만드는 아름다운 예술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녹색 줄기 위의 붉은 꽃 같기도 하고, 물음표 모양에 불이 붙은 것 같기도 하다. 어린
대뇌
신경세포가 분화하며 가지가 뻗어 나가는 과정을 포착했다. 빨갛게 염색한 부분은 가지 역할을 하는 액틴 필라멘트, 녹색으로 염색한 부분은 세포 골격을 지탱하는 미세소관이다. 배율은 1000배.스크림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단층암석이 해식작용에 의해 후퇴하고, 그 전면의 해면 가까이에 나타나는 평탄한 지형
대뇌
피질의 신경세포 수만개의 전기적인 활동을 동시에 기록한 것우리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진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세로토닌의 수치가 낮은 사람들은 사소한 일에 평정심을 ... ...
나는 무엇에 이끌려 행동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신입사원 교육용 두뇌재건센터인간의 고차원적인 인지기능은
대뇌
의 바깥 부분인 피질(cortex)에서 이뤄진다. 피질은 여러 경로를 통해 밖에서 들어오는 정보를 정리하고, 신경 네트워크를 이용해 편집하고 재구성하며 저장한다.앞으로 영상진단기술이 더욱 발달하면 뇌의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추출액에서 인슐린을 분리했다.1932* : 신경세포기능 발견영국의 셰링턴 박사는 개의
대뇌
를 제거한 실험에서 신경 반사가 생물체 전체의 통합활동이라는 것을 밝혔으며 신경 연결 부위인 시냅스를 찾아냈다.1943* : 비타민K 발견덴마크의 헨릭 담과 미국의 에드워드 도이지 박사는 개 등 실험 동물을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바다사자와 96% 일치한다척추동물에서 볼 수 있는 내분비기관의 하나 말 그대로 뇌(
대뇌
)의 밑부분에 혹처럼 솟아있는 부분으로, 성장과 신체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호르몬을 분비한다 가령 사람이 성장하는 과정이나 남자 여자로서의 모습을 갖추어 가는 과정 등은 모두 이 뇌하수체의 작용이다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되었다 이중 V1은 망막에서 들어온 시각정보를 모아 담당영역에 보내는 역할을 한다
대뇌
에서 정서·행동 등을 관장하는 부분특정한 병이나 증후군을 수반하는 기능의 변화마그네슘 함량이 많은 염기성 내지 초염기성의 특이한 화산암으로 시생대의 암석지역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현생대의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한다. 그런데 이 때 두 사람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해보면 아이는
대뇌
피질에서 물리적인 통증에 관여하는 부분과 아프다는 괴로운 감정을 느끼는 부분이 동시에 활발해지지만 엄마는 후자만 반응한다.그는 “도인의 경지에 이른 사람은 활활 타는 불 속에서도 뜨거움을 전혀 ... ...
이산화탄소 배출량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서비스와 행정기관의 사무간소화 등 다방면에서 편리함이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뇌
의 전두엽(前頭葉)이 위축됨으로써 생기는 치매(癡呆─지능·의지·기억 등 정신적인 능력이 현저하게 감퇴하는 것)의 일종 구체적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노년기에 나타난다 이 치매를 발견한 ...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볼 때마다 출력신호를 유발해 공포를 느끼게 된다.편도체는 원인을 논리적으로 분석하는
대뇌
와 따로 작동한다. 우리의 의지로 공포감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성격 형성 좌우하는 편도체지금까지 공포감은 편도체를 포함하는 복잡한 신경회로에서 무의식적으로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1차 공포반응으로 생리적, 무의식적이다. 그런 다음 튀어나온 것에 대한 시각정보가
대뇌
피질로 전달돼 우리는 뱀이란 사실을 인식한다. 그제서야 편도체는 뱀이 물지도 모르기 때문에 무섭다는 걸 알게 된다. 이게 2차 공포반응으로 인지적, 의식적이다. 실제로 1차와 2차 반응 간의 시간은 매우 짧다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