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극성
대조성
역
d라이브러리
"
정반대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09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여기서 인공생명과 생물학이 생명을 연구하는 접근방법이
정반대
임을 알 수 있다. 생물학은 하향식(top-down)이지만 인공생명은 상향식(bottom-up)이다. 생물학은 개체 기관조직 세포의 순서로 계층을 내려가면서 구성 물질을 분석한다. 그러나 인공생명은 비선형적으로 ... ...
금성 목성 토성 어떻게 관측하나
과학동아
l
199309
會合週期)라고 한다.한편 외행성은 내행성과는 달리 지구를 사이에 두고 태양의
정반대
에 있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것을 충(衝)이라고 한다. 충에 있을 때의 외행성은 해가 질 무렵 동쪽에서 뜨고 밤중에 남중한다.그러나 외행성의 시운동은 태양의 반대편에 나타나가도 하며 모두 서쪽에서 동쪽으로 ... ...
노랑부리백로와 모감주나무 발견이 최대 수확
과학동아
l
199309
있음을 알고 놀랐었는데, 번식 후 자리를 떠난 쇠가마우지와 민물가마우지를 두무진과는
정반대
편인 용기원산 해안절벽에서 이번에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었습니다. 이 두 장소는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관광지로 개방된 두무진에서 인간의 위협을 느낀 나머지 반대쪽으로 생활의 ... ...
지구과학- 수소폭탄보다 강력한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
과학동아
l
199307
방법을 동원하여 예보하여도 맞지 않자 이를 평균하여 예보하였더니, 이 방향은 실제와
정반대
의 방향이 되었다고 한다.태풍의 진로예보에는 전향점 예측이 중요한데, 이것은 태풍의 진행속도를 보면 대체로 일본열도 부근에까지는 대체로 20km/시로 진행하며 전향점에 이르면 아주 느려져서 거의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03
일직선상에 놓인다. 그러므로 지구에 있는 우리가 보게 될 목성은 하늘에서 태양의
정반대
방향으로부터 나타나게 된다. 즉 해가 지면서 떠오르기 시작하여 다시 해뜰 무렵에 지게 된다.처녀자리와 함께 떠오르는 목성은 밝기가 -2.5등급이나 되기 때문에 망원경 없이도 쉽게 행성임을 알아 볼 수 ... ...
롤러코스터의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9302
해야 벽에 착 달라붙는 안정감을 누리게 된다. 이처럼 같은 힘이라도 응용하기 따라서
정반대
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이 새로운 놀이기구를 만드는 아이디어다.다시 롤러코스터로 화제를 돌려 보자. 중력코스터(gravity coaster)라고도 불리는 이'놀이기구의 왕'은 회전목마를 비롯해 원운동을 하는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
과학동아
l
199301
근일점 통과일인 12월 중순을 지나면 이 혜성의 위치는 태양을 사이에 두고 지구의
정반대
편에 위치한다. 1862년에는 근일점 통과일 직후에 지구와 같은 방향에 위치하였다.화려한 대혜성이 되지는 못했으나 지난해의 어떤 혜성보다도 밝고 큰 혜성이었던 만큼 많은 아마추어들이 열정적으로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12
실망적일 수 밖에 없다. 무추도 기술적으로는 만들어졌으나 위와 아래가 모두 빈약한
정반대
의 결과를 얻었기 때문이다. 커다란 꿈을 안고 설립된 생물공학 관련회사들 중 성공한 예는 많지 않았다.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표면적인 것일 뿐, 사실상 생물공학은 그동안 장족의 발전을 이뤄왔고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12
해체되고 있다. 과거에는 핵무기개발의 주도권쟁탈전이 치열하게 벌어졌는데, 이제는
정반대
양상을 띠고 있는 것. 특히 러시아의 경우에는 미국과 프랑스의 도움을 받아가며 핵무기 해체작업을 수행하고 있을 정도.핵무기 해체문제는 미국의 대통령선거전에서도 핫이슈로 떠올랐다. 결국 좀더 ... ...
1 세계 입자물리 실험의 총본산 CERN
과학동아
l
199210
LEP(Large Electron Positron)라 불리는 이 가속기는 전자(electron)와 양전자(positron, 전자와
정반대
의 성질을 갖고 있으며 질량이 같은 입자)를 고에너지로 가속한 후 서로 충돌시켜 새로운 입자들을 얻는 장치로서, 현재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가속기다.이곳에서는 입자물리학 연구, 즉 물질의 가장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