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극성
대조성
역
d라이브러리
"
정반대
"(으)로 총 322건 검색되었습니다.
2 생명의 곡선 나선이 우주지배
과학동아
l
199502
Sa 타입의 은하는 중심의 벌지가 대단히 크며, 나선팔은 얇고, 심하게 말려 있다. 이와
정반대
가 Sd 타입. 벌지는 작지만 길고, 거대한 팔을 가지고 있으며 팔과 팔 사이의 간격이 크게 벌어져 있다.은하의 나선팔을 단순히 별의 밀집영역으로 보면 잘못이다. 이는 특별한 곳. 여기에는 젊은 별과 성간 ... ...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12
많이 발견되고 클론은 살기 좋은 지역에서 거주해야 한다. 그러나 조사를 해보니 사실은
정반대
였다.클론은 생물이 살기 힘든 지역에서 우세한 경향이 있고 유성생식형은 환경적으로 안정된 지역에서 생태적 지위를 차지했다. 어찌된 일일까?클론은 일반적으로 생물들이 살기 어려운 곳이나 짝을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11
'감탄'을 금할 수 없다. 이러한 사고방식이라면 79년 노벨상 수상자인 브라운 교수와
정반대
학설을 주장한 올라 교수가 과연 노벨상을 탈 자격이 있을까. 의학·생리학상/길먼과 로드벨세포간 신호전달의 열쇠 G단백질 규명올해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는 세포 사이의 신호전달 기능을 맡고있는 ... ...
목성·혜성 충돌 그 후
과학동아
l
199409
때문이며 □ 충돌 폭발은 적어도 5기압 이하에서 일어났음이 드러났다. 또 충돌 장소와
정반대
되는 북반구 43도 근처에 뜨거운 장소가 발견됐다.한편 작년 말에 김용하 교수와 필자가 한 학회에서 예견했던 ${H}_{3}^{+}$ 이온이 충돌장소에서 줄어들 것이라는 것이 분광관측으로 확인됐다.하와이 ... ...
(2) 혜성, 10여개 매년 지구 접근
과학동아
l
199407
반대편에 꼬리를 형성한다.혜성의 꼬리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다. 그 중의 하나가 태양과
정반대
방향으로 뻗은 이온 꼬리이다. 혜성이 태양에 접근함에 따라서 코마를 형성하고 있는 입자가 태양의 강한 자외선 복사에 의해 (+) 전기를 띤 이온과 (-) 전자로 나뉘어 꼬리가 생겨난다. 이 꼬리는 ... ...
터빈없는 발전기 MHD
과학동아
l
199405
때문에 소음이 전혀 없다는 장점이 있다.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MHD 선박엔진은 MHD 발전과
정반대
로 이해하면 된다. 우선 터널 양쪽에 초전도자석을 설치하고 터널안에 강한 자기장을 형성시킨다. 여기에 발전기를 통해 만들어진 전류를 공급해 주면 터널을 통과하는 바닷물이 이온화되면서 빠른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02
대기중에 방출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대기중 산소농도는 겨울처럼 이산화탄소 농도와
정반대
로 변화한다.그러나 대기중 이산화탄소가 바다에 녹아 들어가서 탄산염과 반응해 일어나는 흡수과정에는 산소의 방출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을 구별해 내는 것이 가능하다. 킬링 박사는 측정하기 ... ...
태양계의 보석 행성 여행
과학동아
l
199310
관측하기에는 유리한 위치에 자리잡지만 하늘이 이미 밝아져버린 상태이고, 저녁에는
정반대
의 상황이다. 따라서 수성의 모습을 지구상에서 자세히 관측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수성도 달처럼 차고 이그러짐이 있지만 낮은 하늘 때문에 시잉 (seeing)이 나빠 잘 알 수 없다. 하지만 끈기있게 ... ...
혼돈이론 응용 전자공학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309
선한 것으로 취급 된 반면 무질서는 사악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질서와 혼돈은 2개의
정반대
극에 서서 세계에 대한 우리들의 해석을 고정시켜 놓는 2개의 축인 것이다.인간에게는 자연계의 규칙성을 이해하고자 노력하거나 우주의 정신없는 복잡성 뒤에 숨겨진 법칙성을 찾으려는, 즉 혼돈 속에 ... ...
잠과 건강, 신비의 관계 벗겨진다
과학동아
l
199309
측정하였다. 연구자들은 면역 기능의 저하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기대 했는데 결과는
정반대
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면역체계는 마치 수면의 박탈로 인해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유기체가 침범한 것처럼 지나치게 반응하고 있었다.에이즈 환자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건강한 사람의 경우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