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분석 결과 시력은 동물에 따라 만 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어요. 눈이 큰 동물일수록, 곤충보다는 포유류나 조류가 시력이 좋았지요. 가장 시력이 좋은 동물은 독수리였고, 모기처럼 겹눈을 지닌 작은 곤충은 아주 가까이 있는 물체를 겨우 볼 수 있을 정도로 시력이 나빴어요. 이 ...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레고 모형이 눈에 들어왔어요. 작가는 새턴V를 두고 “아폴로 11호를 보낸, 세상에서 가장 큰 로켓”이라며 자랑했지요. 새턴V 아래에는 삼엽충 등 다양한 화석이 층층이 쌓여 있었어요. 작가는 “지난 겨울 태백에서 삼엽충 화석을 캤다”며, “겨울은 망치로 돌을 깨도 땀이 안 나 화석을 캐기 좋은 ... ...
- Part 2.지금의 별자리는 누가 정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청백색의 ‘리겔’이라는 밝은 별이 있어 찾기 쉬워요.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와 큰개자리의 시리우스, 작은개자리의 프로키온을 이으면 정삼각형이 만들어져요. 이를 ‘겨울의 대삼각형’이라고 하죠. 겨울의 대삼각형을 찾았다면 밤하늘의 다이아몬드도 찾아보세요! 프로키온과 시리우스, ... ...
- Part 5. 실크로드 전기도 왔다 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없이도 움직이는 배라니, 굉장해! 나 때는 말이야…, 저렇게 큰 배를 움직이려면 일단 이~만한 줄로 닻을 매달아서…, 어? 저기 좀 봐! 우리 때처럼 굵은 줄을 둘둘 말고 있는 선원들이 있어. 어? 그런데 왜 저 줄을 바닷속에 집어넣지? 몽골에서 만든 전기, 한국에서 쓴다! 우리가 쓰는 전기는 ... ...
- [현장취재] 미래 과학자를 꿈꿔라! 해외 탐방 체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하오 리앙 교수님의 안내에 따라 연구실에 들어서자, 교실만 한 공간 안에 사람 키만큼 큰 기계 여러 대가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어요. 기계에 달려 있는 드릴이 쇠에 구멍을 뚫으면 인공지능이 이를 확인했어요. 그러다 구멍의 크기가 잘못되면 인공지능이 이를 인지하고 불량품으로 처리해요. 또 ... ...
- Part 3. 실크로드 바다 아래를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버텨야 한다. → 지진을 이겨내라!유라시아 해저터널이 있는 곳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단층인 북아나톨리안 단층에서 16km 떨어진 지역이다.이 때문에 리히터 규모 7.5의 지진을 이겨낼 내진 장치를 끼웠다. → 교통 체증을 없애라!해저터널은 지름이 13.7m(건물 5층 높이)인 대형 터널로 설계됐다. ... ...
- [시사과학뉴스] 여전히 하늘은 매우 나쁨! 삼한사미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밤에서 아침 사이에 안개가 발생하면, 대기 중의 습기는 초미세먼지 입자들을 뭉쳐 더 큰 미세먼지를 만든답니다. 여기에 북서풍을 타고 외부의 미세먼지가 더 유입되면 겨울 내내 미세먼지 농도가 나쁜 하늘이 지속되는 거랍니다. 우리나라 미세먼지는 보통 11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2~3월까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있을수록 눈송이가 크고 무겁죠. 즉, 완전히 꽁꽁 언 눈송이보다 살짝 녹은 눈송이가 더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답니다. 나무를 부러뜨리거나 건물의 지붕을 무너뜨릴 수 있지요. 현재 우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기상 위성들은 레이더 장치를 통해 눈구름을 분석해서 눈이 내릴 지역과 강설량 등을 ... ...
- [이 얼굴을 지켜주세요] 몸이 그렇게 무거운 ‘고니’? 큰고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남들보다 큰 알에서 태어나 따돌림을 당한 ‘미운 오리 새끼’는 우아한 날갯짓으로 하늘을 나는 고니가 돼요. ‘고니’는 흔히 백조라고 불리는 오리과 조류 ... 다리가 약해 하루 종일 다리로 지탱하며 땅 위에 서 있기 힘들거든요. 올 겨울엔 큰 강이나 호수에서 큰고니를 찾아보세요 ... ...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부모님의 오이 농장을 돕기 시작했어요. 귀농 이후 코이케는 오이를 분류하는 작업에 큰 문제를 느꼈어요. 오이의 크기와 두께, 색깔, 질감, 흠집을 일일이 살피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거든요. 코이케는 “분류 체계를 배우는 데 몇 달이 걸린 데다 새로운 사람을 고용하기도 어려웠다”고 ...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