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법"(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보고했지요.어시장 돌아보며 새로운 종 찾아요! - 명세훈새로운 종을 찾는 가장 흔한 방법은 어시장에 가는 거예요. 연구자가 어시장에 간다니 재밌죠? 상인은 흔한 물고기인 줄 알고 팔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보고되지 않은 종인 경우가 있거든요. 제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해 보고한 ... ...
- [특별기고]목숨을 건 체험기...아마존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닿는 모든 곳을 샅샅이 관찰하며 생물을 채집한다. 또 ‘방형구 조사’라고 불리는 방법에 따라 가로 10m, 세로 10m로 정해진 지역 안을 꼼꼼히 돌아다니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발견되는 모든 동물들은 채집하고 기록으로 남긴다. 하지만 방형구 조사는 선 조사와는 달리 지나가는 길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과학자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대표적인 방법은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ESS)예요.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는 보조배터리처럼 전기가 남을 때 미리 충전했다가, 필요한 상황에 꺼내 쓰는 방식이에요. 특히 전기 사용량이 적은 밤에 남은 전기를 저장하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카드를 사용하도록 노력해 보세요!” 기자단 친구들은 목적지까지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어요. 불을 피해 요리조리 방향을 바꾸다 보니 카드가 많아지고 중간에 실수하는 경우가 생겼지요.“같은 동작을 여러 번 하는 경우에는 ‘반복’ 카드를 사용해 보세요. 실수로 잘못된 명령어를 ... ...
- [과학뉴스] 곰돌이 젤리, 센서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젤리에 인쇄하는 마이크로 전극은 빨리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치료 방법을 바꿀 수도 있다”며 “앞으로 많은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답니다 ... ...
- [이모저모] 식충식물 BEST 3! 이상한 애들은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키울 때도 흙이 항상 젖어있어야 해요. 이때는 화분을 물에 담가두는 ‘저면관수’라는 방법을 사용하면 된답니다.Q식충식물이 벌레를 먹지 않으면 어떡하죠?만약 키우는 식충식물이 벌레를 많이 잡지 못하는 것 같다면, 식물 화분을 데리고 산책을 해 보세요. 늦여름처럼 날벌레가 많은 계절에 ... ...
- Part 1. 다이아몬드는 어디서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이상적인 모양의 다이아몬드를 수학적으로 계산했어요. 다이아몬드를 총 58면체로 깎는 방법이지요. 윗 부분은 납작하고 아래로 갈수록 뾰족한 모양으로, 우리가 다이아몬드를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형태랍니다.하지만 모든 다이아몬드를 브릴리언트 컷으로 깎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 ... ...
- Part 4. 다이아몬드, 인공적으로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다이아몬드로 자라지요. 지난 5월 영국 카디프대학교의 올리버 윌리엄스 교수는 이 방법을 사용해 시간당 0.006mm의 속도로 다이아몬드가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했어요. 윌리엄스 교수는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일주일 만에 보석으로 쓸 수 있는 1캐럿짜리 다이아몬드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답니다 ... ...
- Part 3. 한반도에 상륙한 무서운 녀석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SFTS는 예방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요. 따라서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랍니다. SFTS를 주로 퍼뜨리는 작은소피참진드기는 4월~11월에 활발히 활동하므로, 이 기간에는 되도록 풀밭에 곧바로 접촉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후끈후끈~! ... ...
- [현장취재 1] 2018 첫 특별탐사, 나무를 톡톡 치자 하늘소가 툭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찾아보는 본격적인 탐사에 나섰어요. 최웅 연구원은 대원들에게 하늘소를 쉽게 찾는 방법을 일러주기도 했지요.“하늘소는 꽃이나 나뭇잎의 수액을 먹어요. 그래서 꽃이 피는 시기엔 꽃 주변에 많이 모여 있고, 나뭇잎 위에도 자주 앉아 있지요. 높은 나무에 있는 하늘소는 찾아내기 어려운데, 한 ...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