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컴퓨터 없이 코딩한다! 쪼물락 코딩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요 네모나고 하얀 친구의 이름은 ‘쪼코’예요. ‘쪼물락 코딩’의 준말이자 로봇의 이름으로, 컴퓨터 없이도 코딩을 해 움직일 수 있는 로봇이지요. 함께 쪼물락 코딩과 쪼코를 만나 볼까요? 코딩, 배우고 싶지만 너무 어렵다면 ‘쪼코’!쪼물락 코딩은 컴퓨터 없이 손으로 블록을 붙이며 ... ...
- [통합과학 교과서] 눈 따끔, 목 칼칼! 신데렐라가 아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CFC-11은 바다에 흡수되는 양보다 대기로 배출되는 양이 더 많아질 거라고 설명했어요. 과학자들은 그동안 바다에 녹은 CFC가 다시 대기에 영향을 주는 정도는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적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바다가 오존층 파괴 물질의 발생원이 될 수 있다는 다소 충격적인 결과죠. 연구를 이끈 미국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근육, 뼈, 내장, 피부 등 다양한 신체 조직으로 ‘분화’하는 능력을 갖고 있지요. 과학자들은 줄기세포의 이러한 특성을 활용해 부상이나 질병 등으로 신체의 일부가 손상됐을 때 치료할 방법을 찾고 있어요. 줄기세포를 원하는 조직으로 분화시켜 손상된 신체를 재생시키는 거지요.줄기세포는 ... ...
- [특집] 딱 하나 고르라면 바로 이것!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수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걸 보여주는 방법, 즉 ‘증명법’은 지금까지 약 400가지가 알려졌지요. 그중에는 천재 과학자이자 미술가였던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국 제20대 대통령인 제임스 가필드, 우리나라의 박부성 경남대학교 수학교육과 교수의 방법도 있어요. 복잡하고 어려운 수학 계산으로 보여주는 방법도 있지만,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기후변화 분석한 물리학자들 노벨 물리학상 수상수학동아 l2021년 11호
- 4일 노벨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2021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됐습니다. 노벨상은 스웨덴 과학자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인류’의 ‘복지’에 공헌한 사람이나 단체에 수여하는 상입니다. 수상자는 생리의학상과 문학, 화학, 물리학, 평화, 경제학 총 6개 부문으로 나눠 선정하지요. 1901년에 ... ...
- [핫이슈] 코로나19, 감염전파율이 나이마다 다르다고?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최근 전파력이 강한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면서 어린이와 청소년 확진자가 늘고 있어요. 그동안 ‘어린이와 청소년은 코로나19에 잘 걸리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었는데, 상황이 달라지고 있지요.그런데 최근 나이에 따라 감염전파율이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어떤 ... ...
- [게임디자인 씽킹] 캐릭터를 돋보이게! 명도 차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게임할 때 캐릭터나 아이템이 화려한 배경에 묻혀서 잘 보이지 않는다면 플레이를 원활하게 하기 어렵겠지요? 그래서 배경과 캐릭터의 색을 사용할 때 ‘명도 차이’를 이용해 캐릭터가 돋보이게 만들어요. 게임의 분위기까지 결정하는 명도 차이에 대해 알아봅시다. 사람은 이미지를 볼 때 ‘색 ... ...
- 하늘과 땅 대신 기술로 키운다, 푸드테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좀 특별하다. 땅 대신 실험실 한 편에서, 하늘의 보살핌 대신 배양액으로, 철저한 과학적 계산과 예측으로 키워낸 결과물이다. 일명 ‘푸드테크’다. 이제는 하늘이 부리는 변덕과 상관없이 아삭한 채소를 맛보고, 수많은 동물을 희생시키지 않아도 고소한 고기를 즐길 수 있다. 자라나길 기다리는 ... ...
-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고기 특유의 질기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을 재현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씨위드는 식품과학과 재료공학을 전공한 연구원들로 구성된 관능팀을 따로 두고 있다. 실제 고기를 따라잡기 위해 배양육의 탄성을 측정하고 최적의 첨가물을 찾고 있다. 식품으로 인증받기 위해선 새로운 허가 절차 ... ...
- [과학뉴스] 리튬보다 효율 높인 마그네슘 배터리 전해질 개발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리튬이온배터리는 음극의 리튬 금속이 이온화되며 방출한 전자가 이동해 전류를 생성한다. 이온화될 때 한 개의 전자를 방출하는 1족 원소인 리튬 대신, 2~3개의 전자를 방출하는 원소를 사용하면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다. 리튬보다 지구상에 1000배 이상 풍부하고 2개의 전자를 방출하는 마그네 ...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