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으)로 총 22,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외계인 찾는 디지털 협업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디지털 협업에 해당합니다. 대원이 직접 모은 데이터를 과학자가 분석해 새로운 과학적 지식을 만들기도 하고, 환경 정책 변화와 문제 해결에 기여하기도 하지요. 이러한 디지털 협업은 디지털 시민에게 더욱 중요하고 필수적인 작업방식이 될 거예요. 필자소개이진석 (부산 명덕초 교사)부산에서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3화. 수학과 졸업하면 뭐할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공부를 이어가게 될 때 무조건 ‘부스터’ 하나를 장착한 것과 같거든요. 왜냐하면 자연과학, 공학, 경제 등 어떤 영역을 선택해도 대학에서 수학을 문제를 접하고 공부하던 방식을 적용해서 더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이어갈 수 있어요. 저는 100번을 다시 선택하라고 해도 수학과를 갈 것 ... ...
- 실험실에서 만든 푸아그라, 정말 먹어도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낫다는 주장도 있다. 오웬 스캐퍼 싱가포르국립대 생물의학윤리센터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공장식 사육은 수많은 동물을 비윤리적인 환경에서 복종시키고 도살하는 행위를 포함한다”며 “배양육은 윤리적으로 이상적이지는 않지만 현재 축산업보다 낫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거센 파도에도 끄떡없는 홍합 접착 과정 밝혀져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홍합은 거친 파도에도 바위에 단단히 붙어 있을 수 있는 강력한 접착력을 지녔다. 캐나다 맥길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10년간의 연구 끝에 강력한 홍합 접착력의 비밀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X선 형광 현미경과 라만 분광법 등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총 동원해 홍합의 발을 세포 수준에서 관찰했다. ... ...
- [과학뉴스] 중심별의 죽음에서 살아남은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죽음을 마주하고도 살아있는 행성이 발견됐다. 조슈아 블랙맨 호주 태즈메이니아대 자연과학부 연구원팀은 외계행성 MOA-2010-BLG-477Lb가 백색왜성의 주변을 공전하면서도 여전히 생존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미국 하와이의 켁(Keck) 천문대 망원경으로 포착한 ... ...
- [기획] 2021 THE NOBEL PRIZE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연 과학자들이, 생리의학상은 촉각의 비밀을 풀어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는 방법을 밝힌 과학자들이 수상했다. 올해 노벨상 수상자와 인연이 있는 각 분야 전문가가 수상 업적을 상세히 해설했다. 노벨상을 패러디해 제정된 이그노벨상의 흥미롭고 감동적인 이야기도 정리했다. (※11월 4일과 9일 ... ...
- [기획] 노벨화학상, 비대칭 분자를 만드는 정확한 도구를 개발하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2006년 박사후연구원으로 함께 일했던 인연이 있다. 맥밀란 교수가 한국을 자주 방문하는 과학자다 보니 먼 옛날처럼 느껴지지는 않는다. 필자가 아주대에 부임한 뒤인 2008년도에는 아주대에서 세미나도 개최했다. 가장 최근에는 2017년 한국에서 진행된 유기화학 분야 국제학회 OMCOS19에 참석해 최근 ... ...
- 여성과 남성 백신 영향 차이날까과학동아 l2021년 11호
- NIH)은 미국 보스턴대, 하버드대 의대, 존스홉킨스대, 미시간 주립대, 오리건 보건과학대 등 5개 대학 연구팀을 통해 9월 말부터 백신과 월경 주기 변화 사이의 상관관계 연구에 착수한 상태다. 데이터가 쌓이면 보다 확실한 결론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가슴 통증-백신 부작용이지만 발생 위험 ... ...
- [융복합 파트너] 새로운 길 개척한 분자구조의 설계자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것들이 가능해졌기 때문이죠.”올해 노벨화학상은 유기 촉매 개발에 앞장선 두 명의 과학자가 수상했다. 유기합성은 유기 촉매의 개발과 함께 급격히 발전했다. 이 교수는 “리스트 교수가 유기 촉매 연구를 시작했을 때만 해도 주변에서 큰 기대가 없었다”며 “하지만 복잡했던 촉매의 구조를 ... ...
- [이달의 책] 배터리에 관한 거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발전한 방대한 역사를 한 권에 담았다. 기억과 의식의 본질까지 다루기 시작한 현재의 뇌 과학과, 커넥톰(뇌연결망지도)을 비롯해 앞으로 뇌 연구가 직면한 문제도 살펴본다. 뇌는 지금까지 세상에 알려진 모든 물체 가운데 가장 복잡한 존재다. 두툼한 책의 마지막 장에 닿으면 깨닫게 될 것이다. ... ...
이전2622632642652662672682692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