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1. ?핵융합 및 플라스마 공학은 무엇인가요?합은 원자에서 전자를 떼어낸 두 원자핵을 충돌시켜 새로운 원자를 만드는 반응이다. 핵융합 반응은 높은 에 ... 취재 한마디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이다. 핵융합 플라스마는 영구적인 미래의
에너지
원을 찾는 매력적인 학문이다. ... ...
물리학의 새길 개척한 모혜정 교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모혜정 교수의 멘토였던 켈로웨이 박사는 개발도상국의 산업육성을 위해 유망한 분야인
에너지
띠 이론을 전공할 것을 권유했다. 모혜정 교수 역시 앞으로 신기술 개발만이 아시아의 조그마한 나라, 한국의 살 길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돌아와서 최초로 국내에 소개한 모혜정 교수의 업적은 ... ...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한국은 이미 원전을 보유한 나라였습니다. 그래서 원자력
에너지
가 아닌 전혀 새로운
에너지
원에 눈을 돌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게 핵융합이었어요.”황 교수는 연구가 별로 이뤄지지 않은 새로운 분야야말로 공부를 시작하는 젊은 학생이나 학자가 좋은 연구 업적을 쌓을 수 있는 유리한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논술고사에는 매년 다양한 소재가 등장하고 복잡한 조합이 이뤄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울대 논술고사만의 성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처음부터 일관된 평가요소 때문이다. ... 핵을 만들고 반응 전과 후의 핵들의 결합
에너지
차이만큼을
에너지
로 방출하면 그
에너지
를 이용한다. ... ...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발전은 맞춤형 유전자 등 의료기술 발전도 가져오고 있다. 하지만 더 주목해야 할 것은 ‘
에너지
’다. 미생물을 이용하는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을 통해 나무나 볏짚 등이 석유 화합물을 대체하는 바이오매스 연료 시대가 올 것이다.김상연 _ 과학동아 편집장과학기술의 중심에는 인간이 있다. ... ...
10대 기술 못지 않은, 미래기술 5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전자종이를 더 얇고 가볍게 만드는 방법, 연료전지의 효율을 높이는 기술, 나노로봇에
에너지
를 공급하는 방법 등 많은 기술이 소재화학 발전에 달려 있다.연료전지앞으로 스마트 폰을 비롯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 기능은 점점 많아지고, 각종 멀티미디어 기술이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 있는 능력을 키워보세요. 예시답안 1) 기체 상태의 모든 분자들은 온도에 따라 주어진
에너지
에 의해 무작위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서 충돌한다. A라는 기체 분자가 지속적인 충돌을 통해 일정한 밀도와 압력으로 존재하는 밀폐된 공간에 B라는 기체 분자들을 주입했다고 가정하자. B분자들 ... ...
남해도 아열대 바다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남해 연안의 연평균 수온은 18∼19℃에 이르고 있지요. 아열대성 바다는 표층에 열
에너지
가 많기 때문에 앞으로 발생하는 태풍과 해일이 더 강력해질 거라고 해요. 또 바다에사는 생물들도 많이 바뀌어서 제주 부근 바다에서 아열대성 어류인 귀상어(큰 사진)와 깃털제비활치(동그라미), 민전갱이,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크게 변하는 반응이라 사람 크기의 동물이 질산염 호흡을 하면 항상성을 유지하게 위해
에너지
가 많이 들어간다”며 “세포 내에서 이를 해결하는 방법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염소로 호흡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가능성은 낮다.SF영화나 소설에서 가장 흥미롭게 다루는 소재는 규소로 ... ...
세계는 지금 특허 전쟁 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핵심 기술 개발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했다. 박 박사는 “신재생
에너지
사업을 보더라도 발전 단가를 낮추기 위한 대량생산 기술에만 집중한 나머지 제대로 된 ‘한국산 기술’을 갖지 못하고 있다”면서 “출발이 늦었더라도 패러다임을 바꾸려면 남들이 생각하지 못한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