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극히 좁은 공간 안에서 이뤄진다. 때문에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기존 ‘거시적’ 설계
방식
대신 나노 크기로 부품을 설계하면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다뤄야 할 입자의 크기를 고려한 맞춤 설계이기 때문이다. 거시적 설계 구조로는 입자의 생성과 이동, 수집이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 ...
실험·탐구·체험으로 점프 업!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45% 이상이다.과학중점과정은 선지원 후추첨으로 학생을 뽑는다. 시험을 보는
방식
이 아니다. 자율형 공립고 배정 후, 후기 일반계 고등학교보다 앞서 배정된다. 1단계는 혜원여고 과학중점반을 지망한 학생 중에서 중랑구나 동대문구에 사는 지원자를 모집정원의 50%(35명) 추첨한다. 나머지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미 2004년 삼성전기에서 세계 최초로 액체렌즈
방식
으로 130만 화소의 휴대 카메라 모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② 액체로 종이를?현재 전자종이는 화면이 바뀌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그래서 입자 대신 유동성이 큰 액체로 전자종이를 만들려고 시도하고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사는 사람이 누가 있겠나.”“죽는 것 맞아요.”청년이 무심하게 말했다.“고급스러운
방식
의 자살이죠. 그것도 자기 선택이니 뭐라 할 건 없지만. 옮겨가고 나서 원래 몸은 어떻게 하는데요? 죽여서 쓰레기통에 버릴 건가요? 운동 좀 열심히 하고 약 잘 먹으면 앞으로 한참 더 살 수 있었을지도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원전의 개념을 바꾸는 차세대 원전“이미 일체형 소형 원전이 있는데, 비슷한 가압경수
방식
의 소형모듈형원전(SMR)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까요.”황일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지식경제부의 미래산업선도기술개발산업에서 소형모듈형원전이 탈락한 것을 두고 이렇게 말했다. 당시 황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교수의 말을 인용해 정보의 중요성에 따라 주의를 기울이는 정도를 다르게 하는
방식
을 썼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결을 강하게 만들거나 약하게 만드는 대신 신호가 오갈 때마다 중요성을 기억해 두는 방법이다. 그러면 중요한 신호는 강조하고 그렇지 않은 신호는 무시해 학습할 수 있다.유럽에도 ... ...
나는 왜 빛이 있는지 알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현재 태양이 매년 뿜어내고 있는 에너지로 나누면 총 몇 년 동안 태양이 이런
방식
으로 현재의 밝기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는 약 3000만 년 정도로 나왔다. 그런데 과학자들은 큰 수심에 빠졌다. 이미 20세기 초반에 지질학자들과 물리학자들이 동위원소 측정법을 개발해 지구 ... ...
[3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형식을 선택한 것이 나쁘지는 않다. 그러나 인터뷰이에 대한 소개나 하는 일 등은 다른
방식
으로도 얼마든지 소개할 수 있다. 일반적인 질문을 기사에 전반적으로 할애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중간중간에 위성의 구조와 앞으로 한국 위성 사업 계획에 대한 질문과 답변은 그 자체로 정보가 ... ...
Morning Routines Are Creativity Killers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최근 뇌과학자와 인지심리학자들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아침을 보내는
방식
은 유연하고 열린 사고능력을 낮춘다. 아침에 급하게 일어날 때를 생각해 보자. 지난해 『사고와 추론』이라는 학술지에 비이쓰와 잭스라는 두 명의 과학자가 실은 논문에 의하면, 사람은 정신이 풀린 ... ...
[교과연계수업] 오늘이 화이트데이? 운명의 짝을 만날 확률은?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때, 남성에게 고백할 기회를 여러 번 줘서 모두가 커플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미팅
방식
을 연구했다. 이를 ‘안정적인 결혼 문제’라 한다. 미국의 수학자 데이비드 게일과 로이드 샤플리는 1962년 이 문제의 해결 방법을 제시했다. 동아사이언스 제공 1. 대상 : 연애와 관련된 재미있는 ... ...
이전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