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식"(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실을 놓아 건너편 모서리에 닿으면 180° 방향을 바꿔 반대 방향으로 실을 놓는 지그재그 방식으로 채울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네모를 다 채웠다고 해서 보자기가 만들어진 건 아니다. 언제든지 실을 당기기만 하면 그냥 풀려버리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이때 콜럼버스 달걀의 ...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볼 수 있는 영상진단법은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했다. X선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기존 방식은 방사선 노출로 인체가 해를 입거나 해상도가 낮은 문제를 갖고 있었다. MRI는 강한 자기장을 사용하는데 현재 널리 보급된 3T MRI는 인체에 해롭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우리 몸의 70%를 이루고 있는 물의 ...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발견해 2011년 ‘미국인간유전학저널’(8월호)에 발표했다. SMARCAD1 유전자는 두 가지 방식으로 전사된다. 즉, 긴 타입이 있고 짧은 타입이 있다. 흥미롭게도 짧은 타입은 피부에서만 발현된다. 이 유전자에 변이가 있는 사람은 전사체가 비정상적으로 가공되고 그 양도 적다. 이 유전자의 기능은 아직 ...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극히 좁은 공간 안에서 이뤄진다. 때문에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기존 ‘거시적’ 설계방식 대신 나노 크기로 부품을 설계하면 에너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다뤄야 할 입자의 크기를 고려한 맞춤 설계이기 때문이다. 거시적 설계 구조로는 입자의 생성과 이동, 수집이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초점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미 2004년 삼성전기에서 세계 최초로 액체렌즈 방식으로 130만 화소의 휴대 카메라 모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② 액체로 종이를?현재 전자종이는 화면이 바뀌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그래서 입자 대신 유동성이 큰 액체로 전자종이를 만들려고 시도하고 ... ...
- 뇌조절 기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시에라 교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뇌자극 방법이 언젠가는 뇌에 바늘을 찔러 넣는 방식을 대신할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에라 교수는 “마이크로파 빔을 만드는 안테나가 달린 모자를 쓰면 약을 먹지 않아도 우울증이나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방법들이 어떤 원리로 뇌를 ... ...
- Part2. 2012 세상을 바꿀 빅데이터 5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연구하고 있다. 이처럼 언제 어디서나 연구자들이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 방식을 ‘e-사이언스(e-science)’라고 한다.2011년, LHC는 더욱 성능을 높여서 2010년 데이터의 약 150배에 달하는 데이터를 얻었다. 물리학자들은 이를 분석해 힉스 입자라고 여겨지는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해보라고 하셨습니다.”만일 석사장교 시험에 붙었다면 적당한 조류를 정해 기존에 하던 방식대로 분류학 연구를 해 박사학위를 받았을 것이다. 그런데 2년간의 공백이 생기면서 전혀 다른 연구를 시작하게 된 것. 처음에는 골치 아프게 됐다고 생각했지만 결과적으로 오늘날 윤 교수가 있게 된 ... ...
- 2013학년도, 달라지는 연세대 입시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포괄적 평가입니다. 즉, 각 요소들을 각기 따로 평가해 평가점수를 더하고 평균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따라서 학생부 비교과, 자기소개서, 추천서의 반영 비율도 고정돼 있지 않습니다. 서류평가에서 중요하게 보는 것은 활동의 진정성입니다. 자기소개서와 추천서에서 범하기 쉬운 실수는 활동 ... ...
- 숫자 4는 언제나 현재진행형!수학동아 l2012년 04호
- 것으로, 이 때부터 4색 문제가 아닌 4색 정리로 불리게 되었다.그런데 하켄과 아펠의 증명 방식은 일반적으로 수학에서 사용하는 방법과 사뭇 달라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 바로 ‘컴퓨터로 얻어낸 해결 방법을 과연 신뢰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가 제기된 것이다. 결국 4색 정리는 해결은 되었으나, ... ...
이전2632642652662672682692702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