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뉴스
"
인공
"(으)로 총 8,020건 검색되었습니다.
AI 활용 신약개발 플랫폼 고도화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2
항암신약 등에 적용 가능한 AI 모델 개발을 지원했다. 개발된 모델은 공공
인공
지능 신약개발 플랫폼(https://www.kaidd.re.kr)에서 지난해 12월부터 공개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AI 모델 추가 개발 등을 통해 플랫폼을 고도화하기 위한 것이다. 최선 교수팀은 멀티오믹스 기반 약물 추천 시스템 개발에 ... ...
암 진단 방사선 노출 줄인다...AI로 저선량 CT영상 고화질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9.21
촬영 과정에서 선량을 줄일 수 있지만 얻게 되는 영상물의 화질이 저하된다. 최근 의료
인공
지능(AI) 기술은 상대적으로 방사선량이 적은 장비로 촬영한 CT 검사 결과지의 화질을 기존과 같은 수준의 선량을 사용한 영상물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활용되고 있다. 적은 선량을 사용한 CT 촬영물로도 ... ...
R&D 디지털화 속도낸다...디지털트윈·AI 접목
동아사이언스
l
2022.09.20
제공 정부가 연구개발(R&D) 디지털화 촉진에 나선다. 2027년까지 2000억원을 투입해
인공
지능(AI)과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 등 디지털 기술을 R&D 전반에 적용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이 같은 안을 담은 ‘R&D 디지털화 촉진방안’을 공개했다. 기존 연구에 디지털 기법을 결합해 혁신적 성과를 ... ...
[인터뷰] 알렉사·클로바 초석이 된 음성인식 AI, 비즈니스가 됐다
과학동아
l
2022.09.17
서비스를 구상해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굉장히 실망했지만 꾹꾹 참으며 말하는
인공
지능? 김태수 네오사피엔스 대표는 AI 기술을 이용해 창작 환경이 바뀔 것으로 전망하며, 본인의 연구로 변화를 이끌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촬영 최항형 타입캐스트 기술이 다른 AI 성우와 가진 ... ...
[잠깐과학] 127년 전 9월 15일 첫
인공
감미료 '사카린' 특허 등록
어린이과학동아
l
2022.09.17
1870년대 말 어느 날 러시아의 화학자 콘스탄틴 팔베르크는 지친 채 집에 돌아와 저녁을 먹고 있었습니다. 그는 미국 존스홉킨스대 화학과 아이라 램슨 교수의 연구실 ... 제공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9월 15일자 [이달의 과학사] 1895년 9월 15일 최초의
인공
감미료 사카린 특허받다 ... ...
분화 직전 지진활동 멈춘 아이슬란드 화산
동아사이언스
l
2022.09.16
판독해 화산 분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올해 2월
인공
위성 '나초스'를 띄워 대기 중 가스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나초스를 개발한 스티브 러브 로스 앨러보스 국립연구소 팀장은 "화산이 휴지기를 끝내고 지진활동이 나타나기 전 이산화황 가스를 내뿜을 수 있다 ... ...
사계절 내내 북극 해빙 두께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5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성 레이더 신호 데이터베이스로 딥러닝 기반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학습시켜 그 차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위성이 작동하는 1년 내내 해빙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었다. ESA는 지난 10년간 북극의 얼음이 녹는 5~9월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고 ... ...
"아르테미스 협약, 구속력 없어...적극적 협력 움직임 보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2.09.15
월 약정에 서명해 10번째 약정 참여국이 됐다. 최 수석연구원은 NASA에서 40년간 일하면서
인공
위성 센서와 바이오나노 배터리, 극초소형 분광기, 태양열 로켓, 단결정 실리콘게르마늄(SiGe) 반도체 물질 등 다양한 발명품을 개발한 우주 기술 전문가다. NASA는 그 공로를 인정해 지난 2020년 최 ... ...
[과학게시판]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 출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15
팝업스토어’운영을 협력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4일 모바일
인공
지능 서비스 개발 플랫폼 구축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스마트기기에 탑재되는 다양한 AI 서비스를 쉽고 간편하게 자동생성하고 통합개발할 수 있는 형태다. 2026년까지 진행되는 이 기술개발에 써로마인드 ... ...
[과기원은 지금] 강진영 KAIST 교수팀, 단백질·RNA 유전자 전사조절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7일 3차원(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혈관과 림프관이 포함된
인공
암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향후 환자에게서 채취한 세포로 암 모델을 제작해 맞춤형으로 치료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지난달 26일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