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분위기
사정
주위 상황
세팅
인터페이스
대기권
스페셜
"
환경
"(으)로 총 3,21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아름드리나무들을 쓴다면 더 의미가 있을 것이다) 비록 숲은 파괴했지만 그래도 친
환경
건축물의 효시로 우리나라 건축사에 남지 않았을까 하는 부질없는 생각을 해본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복합요인’이라는 표현에 해당한다. 아무튼 자가면역질환이 꾸준히 늘고 있고 이는
환경
요인의 비중이 꽤 큼을 시사한다. 즉 음식, 감염, 흡연 등 생활방식이 발병률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하나 특기할 사실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발병률이 세 배 정도 더 높다. 자가면역이 유발되는 주요 ... ...
사막에 숨겨진 속살, 더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표지로 읽는 과학] 이번 주 사이언스(5월 12일자) 표지는 아프리카 남동쪽 인도양이 있는 세계에서 4번째로 큰 섬나라 마다가스카르의 해질 ... 알려지지 않은 건조 산림 지대가 더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 전해졌네요. 이후 과학자,
환경
학자들의 행보가 어떻게 달라질지 지켜봐야겠습니다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사소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
2017.05.07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공허하지 않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가 속한 세상과
환경
이 이해될 때, 세상이 무질서하지 않고 다 나름의 이치가 있다는 느낌을 받을 때 그 안에서 살고 있는 자신의 삶을 더 의미있게 느낀다는 것이다. GIB 제공 생각해 보면 뭐가 딱딱 맞게 떨어지는 사진이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휘발성유기화합물(BVOC)도 간과하기 쉬운 문제다. 식물체에서 나오는 기체는 다 사람과
환경
에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BVOC는 이소프렌이나 모노테펜 같은 탄소원자 5개 또는 10개로 이뤄진 분자로 대기 중 질소화합물과 반응해 오존을 생성한다. 서구 도시의 가로수 가운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키 같은 다른 신체 특성도 그렇지만 얼굴 역시 유전과
환경
의 합작품이다. 류 자매의 경우도 언니는 오른쪽 눈 밑에 점이 있고 동생은 없는데 바로
환경
(우연)의 영향이다. 과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일란성쌍둥이를 대상으로 얼굴의 특징을 측정해 유전의 영향을 알아보는 ... ...
[사이언스 지식IN] 그 많던 까마귀는 어디로 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21
“인계동에 있는 카페에 갔다가 깜짝 놀랐어요. 새똥이 하도 많아서 주변을 보니 까마귀들이 새까맣게 몰려있었거든요. 무서울 정도로 많았어요.” 수원 ... 기회 삼아 떼까마귀 군무 같은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인근 지역을 철새 마을로 지정해 친
환경
마을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합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자도 소용없다”는 기록을 남겼다. 이에 비하면 오늘날 우리나라 사람 대다수의 숙면
환경
은 상당히 쾌적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한여름 몇 주 동안 열대야에 시달리기는 하지만 그래도 선풍기는 있지 않은가. 겨울밤 추위로 발이 시려 잠들지 못하는 경우도 흔치 않다. 그리고 열에 아홉은 벼룩과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고민하며 새로운 것을 하려고 찾고 있는데, 그래닉 단장이 자유로운 분위기의 연구
환경
을 만들어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조윤경 그룹리더(가운데)는 우현경 UNIST 생명과학부 석‧박사 통합과정(왼쪽)과 비자야 순카라(Vijaya Sunkara) UNIST 생명과학부 박사(오른쪽)와 함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통해 관련 유전자를 획득했을 것이다). 산소호흡은 외부의 산소농도가 어느 정도 높는
환경
에서 쓸모가 있으므로 시기적으로도 말이 된다. 이번 연구결과가 산소발생 광합성 시기 논쟁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지 아직 예단하기는 이르지만 기존 주류 입장(38억~35억 년 전)에는 꽤 큰 타격을 줄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