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공격을 많이 당한 영국군은 독일군의 비행기를 탐지할 레이더를 설치하기로 했다. 모든 곳에 설치할 수 없으니, 한정된 개수의 레이더로 가능한 넓은 범위를 감지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를 찾아야 했고, 최적의 위치를 찾는 데는 수학적 방법론을 이용했다. 이렇게 최적의 위치를 찾는 방법은 작전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뱃속은 작은 수정란이 아기가 되고, 세상에 나와 살 수 있도록 다양한 기관들이 발달하는 곳이다. 이 기간은 꼬박 40주나 걸린다. 그런데 질병이나 사고 등 여러 이유로 일찍 태어나는 아기들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임신 37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조산아로 정의한다. 세계적으로 태어나는 아기 ... ...
- [Origin]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리서치 파크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QIB)도 이곳에 있습니다.◀ ①② 노리치 사이언스 파크에서 열린 과학축제 현장. 다양한 주제로 전시와 쇼가 진행됐다.③ QIB는 건물을 새로지어 2018년 이전할 계획이다. 새로운 건물에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환자를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원하는 사람을 찾아주는 장사예요. 요즘은 새로 들어선 정부에게 의뢰를 받아서 은하 곳곳을 뒤지고 있죠. 그러다가 여기까지 흘러들어왔고요.”마크가 손을 들어 쿄시로의 말을 막았다.“너스레는 이 정도로 해두는 게 좋겠군요. 이제 장사를 접을 때가 됐어요, 아저씨. 아니, 불멸자라고 불러야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동물의 권리는 우리가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취재처인 국립중앙과학관에 자연사관이 개관했다는 소식을 듣고 다녀왔어요. 이런 곳에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인 제가 빠질 수 없죠!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관은 ‘한반도 땅의 이야기와 생명의 역사’라는 주제로 한반도에 있었던 암석과 생물 화석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관이에요. 자연사관은 ... ...
- Part 2. 과학자들이 반한 벌레의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곤충 날개(노란색)에 생기는 와류(초록)를 나타낸 컴퓨터 그래픽. 벌레의 능력 3높은 곳도 문제없어!▶중요 기술 다리를 활처럼 구부리기 벼룩은 무려 자기 몸길이의 100배 이상 뛸 수 있어요. 150cm인 사람으로 치면 한 번 점프해서 커다란 빌딩 꼭대기까지 올라갈 수 있는 셈이지요. 벼룩이 이렇게 ... ...
- 몸이 먼저 반응하는 곳, 서울시립과학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직원에게 물으니 계단을 하나 더 올라가야 한단다. 옆에는 이런 숫자가 보였다.√2. 그곳은 1층과 2층 사이 √2층이었다. 모두가 쉽고 빠르게 위치를 찾는 것보다 재밌게 실패해서 √2를 배우는 게 과학관의 목표인 걸까. 이정모 관장은 “과학은 몸으로 익히는 것”이라고 말했다.‘메이커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무중력 소풍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엘리베이터 앞에 자리를 잡고 신분증을 하나씩 확인하기 시작했다. 마고는 이제 높은 곳에 자리잡은 채 가만히 떠 있었다.하림은 마고의 눈길을 피해 슬그머니 다시 화장실로 돌아갔다. 서둘러 화장을 지우고 안경과 모자를 벗었다. 눈에 띄지 않게 다시 섞이려면 아직 사람들이 많을 때 나가야 했다 ... ...
- [Future] 잠 테크놀로지 시대, 숙면 위해 ○○하라!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전공 연구원이 한쪽에 위치한 간이 수면실로 안내했다. 일반 병실처럼 생긴 곳이었다.안내해 준 침대에 편안히 5분간 누워있으라는 말에 “머리나 몸에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느냐”고 묻자 정 연구원은 베개를 가리키며 “베개와 침대 아래에 압전 센서가 설치돼 있다”고 답했다. 실제 이불을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질병관리본부 의료감염관리TF 팀장은 “당시 수도권 병원 두 곳과 경북지역 병원 한 곳에서 보관했던 세균주에서 콜리스틴 내성 유전자(mcr-1)를 발견했다”며 “이 병원들은 환자가 진단받은 장소일 뿐이고 실제 환자가 어느 지역에 사는지, 보유하고 있던 균이 병원성을 가지고 있었는지 등은 알 수 ... ...
이전2622632642652662672682692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