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소방서와 경찰서를 지어라!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네 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측지중심은 가장 먼 꼭짓점까지의 거리가 가장 작은 곳입니다. 그러려면 소방서는 네 꼭짓점까지의 거리가 서로 같은 점에 있어야겠죠. 마찬가지로 예각삼각형에서도 세 꼭짓점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점이 측지중심입니다.식으로 소방서를 조금씩 옮기다 가장 먼 ... ...
- [가상인터뷰] 개미 사회의 스파이, 반날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몸길이는 0.5~30mm이고, 가늘고 긴 몸을 가지고 있어요. 숲의 낙엽이나 돌, 물 등 다양한 곳에서 살며 다른 곤충들을 잡아먹지요. 그 중에서 ‘알리오카린’이라고 부르는 종은 열대 우림에 사는 개미나 흰개미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어요. 일리 어떻게 개미들과 함께 살 수 있는 거야? 반날개 최근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과자 도둑 ‘ 까까나 까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가짜 초콜릿을 찾아내자 막혀 있던 벽이 열리면서 기다란 초코 막대과자가 만들어지는 곳이 나타났다. ‘까까나 까까’가 어디 숨어 있나 찾고 있던 썰렁홈즈 앞에 웬 피에로가 나타나 초코 막대과자를 가리키며 말했다.“여기서도 이상한 과자 하나를 잘 찾아봐. 과자를 잘 살펴보면 찾을 수 있을 ... ...
- Intro. 뇌파로 조종한다? 똑똑한 거대 로봇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 쿵! 위잉~, 쿵”드디어 첫 출동이다! 우리는 어린이가 위험에 처한 곳이라면 어디든지 달려가는 거대로봇 듀오야! 좀 전에 도움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받았어. 어린이가 무너진 건축물 사이에 갇혔대.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 거대로봇은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거 아니냐고? 천만의 말씀! 벌써 다양한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방파제가 지어지면서 조간대 생태계가 훼손되고 있어요. 높은 곳까지 물살이 들어오던 곳에 더이상 파도가 치지 않고, 울퉁불퉁한 바위에 숨을 공간이 사라진 거예요.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최창근 교수는 사람들의 개발 사업으로 파괴되고 있는 해양 생태계를 복원하고 있어요. 특히 하부 조간대를 ... ...
- [과학뉴스] 크리스퍼, 표적 외 다른 유전자에 변형 일으켜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공저자인 미국 컬럼비아대 세포병리학과 스티븐 창 교수는 “연구자들은 표적을 벗어난 곳의 돌연변이를 찾기 위해 전체 유전자를 확인하지 않지만, 단일 뉴클레오티드 돌연변이 하나가 큰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doi:10.1038/nmeth.429 ... ...
- [Future] ‘녹조라떼’로 만든 신발이 있다고?과학동아 l2017년 07호
- 2007년 급격히 증가한 녹조로 식수 이용을 중단하는 등 녹조로 꽤나 속앓이를 했던 곳이다. 당시 중국은 100억 달러가 넘는 돈을 투자해 녹조를 없애는 데 힘썼지만 여전히 녹조를 해결하지 못했다.이런 상황에서 녹조 신발의 개발은 아주 반가운 소식이다. 녹조를 효과적으로 없애는 데다가 이를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통신그룹 NTT가 105km의 거리에서 전송실험에 성공했으며, 최근 유럽에서는 143km 떨어진 곳에서 무선방식으로 양자암호키를 전송하는 기록을 세웠다.최대 100km 수준이면 아직 현재의 연결망을 대체하기에 역부족이지 않을까. 곽 랩장은 “SKT에서도 유선상으로 113km 떨어진 거리 전송에 성공했는데 ... ...
- [Issue]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부두가 부산스러워지기 시작했다.5년 간 유출된 유해화학물질 20만 L이 날 기자가 찾은 곳은 인천해양경비안전서(이하 인천해경서) 주관으로 실시한 유해화학물질(HNS) 해상유출사고 대비 합동훈련 현장. HNS는 ‘기름을 제외한 물질로 해양환경에 유입되면 인간의 건강과 해양생물자원 등에 해롭고, ... ...
- [Photo] 문명의 대들보 철과 그 광물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광상으로 현대 문명을 지탱하는 자원이 되고 있다.필자는 지구 역사의 속살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한 서호주의 필바라 지역에서 채집된 표본과 남아프리카 카프발 출신의 표본을 가지고 있다. 두 지역은 비록 지금은 멀리 떨어져 있지만, 유사한 지층 형태를 보여주고 있어서 학계에서는 이를 ... ...
이전2582592602612622632642652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