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도 2020년 달에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만들겠다는 게 연구단의 복안이다.이 연구가 왜 필요할까. 연구단에 소속된 같은
학과
의 진호 교수는 “지구 주변은 우주선이 반드시 지나야 하는 곳인 만큼 ‘도로’ 상황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단은 관측 장비를 가벼우면서도 전력을 적게 쓰는 형태로 개발하고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홈페이지(iphak.khu.ac.kr)에 평가항목을 제시했다. 지원자의 학습태도와 학습능력, 지원한
학과
와 관련된 특별한 재능과 관심, 열정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와 근거를 들어 작성했는가를 본다는 내용이다. 물론 지원자가 재학 중 던진 질문과 대화 내용 등을 구체적인 실례로 제시한다면 높은 점수를 받을 ... ...
신종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수 있는 다양한 차원의 연구도 필요하다. 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백신주 개발충남대 수의
학과
서상희 교수팀은 지난 5월 15일 유전자 재조합 기법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인체 백신주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서 교수팀은 미국 질병관리센터(CDC)에서 분양 받은 신종 인플루엔자 표준 바이러스의 ... ...
인터넷서 손짓하는 저승의 신 하데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문제학계에선 최근 이어진 자살의 특징이 집단화라는 점에 눈길을 집중한다. 연세대 심리
학과
황상민 교수는 “자신이 부닥친 문제를 혼자 해결하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는 경향이 사회 전반에 퍼져 있다”며 “인터넷이 이 같은 이들을 잇는 도구가 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그러면서도 황 ... ...
자생 생물 세밀화에 빠지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선정됐다. 미술 전공인 정 씨는 아버지(안동대 생약자원학전공 정형진 교수)의
학과
동료한테 추천을 받아 식물세밀화를 배우기 시작했다. 지난해 1월부터는 국립수목원에서 세밀화 작업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지난해 국립수목원이 경북에서 발견한 참작약 군락지에서 표본을 얻었다”며 ... ...
섬유 넣은 콘크리트로 ‘건축 빅뱅’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미국 콘크리트학회가 주는 2009년 최우수논문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된 서울대 건축
학과
박홍근 교수. 박 교수가 받은 이 상은 토목공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릴 만큼 세계적인 권위를 갖는다.전 세계 21개국의 콘크리트 구조설계 기준을 제정하는 미국 콘크리트학회는 현재 108개국에서 2만여 명의 ... ...
약학대학 학제개편에 따른 진로설계 방법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PEET는 의학전문대학원 입학시험인 MEET와 형식이 비슷합니다. 시험 과목은 생물
학과
화학, 물리학이 주가 되며 각 대학에서 요구하는 선수과목들 역시 이 과목들에 집중돼 있어 약대 전 전공이 화학이나 생물학인 것이 유리합니다. 약대 졸업 후에는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병원, 약국, 제약회사 등에 ... ...
생체 에너지 ATP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살아있는 유기체의 공간적 경계 안에서 일어나는 시간과 공간 속의 사건들을 물리
학과
화학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오스트리아의 이론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가 쓴 ‘생명이란 무엇인가’에서.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스페인 독감 바이러스의 고병원성을 비교한 논문을 발표한 미국 워싱턴대 비교의
학과
캐롤 바스킨 박사는 논문 서두에서 “우리는 이들 바이러스가 인체에서 높은 치사율을 일으키는 메커니즘을 아직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전제했다.지금까지 연구결과 평범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 ...
1억 년 전부터 흰개미와 미생물 공생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관계를 이룬 지 적어도 1억 년 이상 됐다는 증거가 발견됐다. 미국 오리건주립대 동물
학과
조지 포이날 교수는 미얀마에서 발견한 1억 년 된 호박에서 흰개미와 그 뱃속에서 공생하던 미생물을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기생동물과 벡터’ 2월호에 발표했다.포이날 교수가 발견한 호박 속 흰개미는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