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밤하늘 어디쯤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태양
이 있는 곳을 지나가는 적경은 12시다. 당연히 낮 12시(정확히는 12시 30분)가 되면
태양
은 정남에 온다. 하늘의 한반도 지키는 6등성큰 그림에서 본다면, 밤하늘은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구다.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지표면의 한 지점은 밤하늘의 한 지점과 일대일 대응이 가능하다. ... ...
과천에 문 여는 과학 놀이터 - 국립과학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설계됐다. 천장에는
태양
집열판을 설치해 과학관에서 사용되는 전기의 일정량을
태양
에너지로 충당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양옆으로 막힘이 없어 공기가 자연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탁 트인 구조를 도입했고, 동시에 과학관 앞에는 호수 같은 수장고를 배치해 과학관의 열기를 식힐 수 있는 ... ...
가장 어린 은하는 겨우 5억살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시작한 은하가 있다는 사실이 허블우주망원경의 관측을 통해 확인됐다. 그 주인공은
태양
계에서 4500만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난쟁이 은하 ‘I 쯔비키 18’로 약 5억년 전부터 형성됐다.120억살로 추정되는 우리은하를 비롯해 대부분의 은하는 빅뱅이 일어난 뒤 10억년 전후에 형성됐다. 따라서 이 ... ...
지구온난화로 최근 10년 가장 더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변광성 중에서 광도곡선(光度曲線)이 불규칙적인 별 불규칙한 변광성 가운데는
태양
의 플레어(flare)처럼 짧은 기간에 급격하게 밝기가 변하는 적색 주계열의 별들이 있다이것을 고래자리 UV형 변광성 또는 플레어별(flare star)이라고 한다외부 은하의 일종으로 축대칭이 아니고 항성이나 성간물질이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주고받았다. 한번은 그녀의 ‘매력적인 편지’에 고마워하며 “사랑하는 나의 작은
태양
이 나를 얼마나 행복하게 하는지, 내게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이제야 알았다”는 답장을 쓰기도 했다.하지만 이들의 사랑은 오래 가지 못했다. 마리는 사랑의 편지를 계속 보냈지만 아인슈타인은 그녀를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거북은 부화할 때 온도가 성별을 결정해요. 수컷이 좀더 높은 온도에서 부화하죠.
태양
전지에서 전기를 생산해 거북을 부화시킬 때 온도를 조절합니다. 이렇게 부화시킨 거북을 다시 섬에 풀어놓는 거에요.”의사로 일하다가 10년 전부터 갈라파고스에 들어와 동물을 연구하고 있다는 에콰도르 출신 ... ...
혜성, 스키장 밤하늘을 가로지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가까운 지점, 즉 근지점을 지난다. 이때 지구와의 거리는 0.35AU 정도다. 이때부터 혜성이
태양
과 가장 근접하는 시기인 1월 25일까지 혜성은 최상의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준다.밤하늘에 달이 없는 1월 10일을 기준으로 앞뒤 7일 가량이 이 혜성을 위한 최상의 날이 된다. 달빛이 있다면 엷은 혜성의 ... ...
태양
격렬한 폭발로 우주인 위험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강력한 전기장을 발생시켜 지구 바깥 대기인 플라스마권을 밀어낼 정도였다.그 결과
태양
입자의 일부가 지구에 가까이 접근해 몇몇 위성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켰고 극지방에서는 오로라가 넓은 지역에 걸쳐 발생했다. 과학자들은“인공위성과 우주인이 거주하는 공간도 더 이상 안전하지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지수 스위스 취리히의 천문대장 R 볼프가 고안했기 때문에 볼프 상대흑점수라고도 한다
태양
면 위에 g개의 군으로 분리된 f개의 흑점이 관측될 때, 상대흑점수 R는 R=k(10g+f)로 정의된다 형태와 구조면에서 거의 같은 염색체가 있어 쌍을 이룰 수 있는 염색체 감수분열에서 상동염색체가 접합하면 그 ... ...
뉴턴의 프리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실험을 하기도 했다. 그는 한 눈을 감고 다른 눈으로
태양
을 계속 쳐다본 후에는
태양
에서 눈을 떼도 남는 잔상을 보면서 환상이 시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 눈 뒤를 뜨게 바늘로 눌러 망막의 굴곡을 바꿔 시각에 왜곡이 오는지 실험하기도 했다.뉴턴은 데카르트, 후크, 보일 등 ... ...
이전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2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