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3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큰곰자리 나선은하 M81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대회에서는 일반부문에 86점, 청소년부문에 38점이 출품됐다.130년 만에 벌어진 금성의
태양
표면 통과 현상, 혜성(맥홀츠)이 별무리(플레이아데스성단) 근처를 지나가는 보기 드문 현상을 찍은 작품이 눈길을 끌었다. 심사위원장인 이명균 서울대 교수(천문학)는 “일반부문의 수상작은 모두 우열을 ... ...
플라스크 속에서 별이 빛났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불러일으킨바 있다.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2002년 4월호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 기포핵융합’ 참조) 그러나 당사자인 테일야칸 박사팀조차 재현실험에 실패하는 등 그 진위여부를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서슬릭 교수는 “나는 테일야칸 박사의 주장에 회의적인 입장”이라며 ... ...
05 푸른 향기 가득한 우주정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야구 방망이만한 오이와 비타민A 함유량이 더 높은 토마토를 얻었다. 우주의 무중력과
태양
복사로 식물의 DNA가 바뀐 것이다. 우주정원에서 기른 샐러드NASA는 2002년 우주왕복선 애틀란티스호를 이용해 우주에서 재배한 콩을 가져오는데 성공했다. 4개월 전 우주정거장으로 가는 엔데버호에 콩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오염물 수프’인 셈이다. 갈색구름이 갈색을 띄고 있는 이유는 이런 오염물들이
태양
에서 오는 가시광선을 흡수하거나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갈색구름의 층 두께는 오염원이나 그 지역의 기상, 지형적 여건에 따라 수백m에서 수km에 이른다. 갈색구름은 동남아시아와 미국 그리고 아프리카 ... ...
우주의 신비를 찾아나선 대서사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앞에 놓여 있는 신비한 수수께끼들을 흥미롭게 소개한다.우주의 탄생, 은하계의 진화,
태양
의 삶과 죽음, 우주를 떠돌던 먼지가 의식 있는 생명이 되는 과정, 어쩌면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로울 수 있는 외계 생명의 존재 가능성 등이 250여 컷의 사진과 일러스트와 함께 묘사된다. 수많은 운석공을 가진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찾아낼 수 있다.난류에 대한 성 교수의 설명이 이어진다. “난류는 특정 지역에 편중된
태양
에너지를 지구 전역에 최대한 빠르고 고르게 전달하는 성질이 있어요. 기체 주변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복잡한 움직임을 정확하게 예측해 기체를 설계한다면 공기 저항을 거의 받지 않고 에너지 효율이 매우 ... ...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오늘날까지 팽창해온 시간이 약 137억년인데, 이것이 바로 ‘현재 우주의 나이’가 된다.
태양
계가 속해있는 우리은하가 형성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120억년 전의 일이다. 즉 우리은하의 나이가 120억살이라는 뜻이다.우주의 나이나 우리은하의 나이와 비교해보면 1억살짜리는 물론 10억살짜리 ... ...
토성 오로라의 신비 밝혀져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들어올 때 대기 입자와 충돌하면서 빛을 내는 현상이다.김 연구원은 “지구 오로라는
태양
풍에 따라 변하는 반면 목성 오로라는 자체 자기장의 영향을 많이 받고 토성 오로라는 지구와 목성 오로라의 특징을 모두 가진다”고 설명했다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결과가 발표됐다.지구 자체도 안전할 수 없다. 지자기는 지구 바깥에 자기권을 형성해
태양
풍과 우주방사선을 막아준다. 오로라가 그 증거다. 지구 표면으로 들어오지 못한 고에너지 입자들이 지구자기장을 따라 극지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층대기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빛이 오로라이기 때문이다.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검고 길게 이어진 먼지 띠에서 아직 태어나지 않은 2500개 이상의 태아별을 찾아냈다.
태양
보다 가벼운 이들은 엄마 뱃속 같은 가스 구름에 500만년간 둘러싸여 있었다고 한다. 가스 구름이 계속 수축해 태아별 중심부에서 수소가 타기 시작하면 별이 무더기로 탄생할 것이다.인류 최초의 세계 일주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