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
썬
sun
천체
햇빛
햇볕
햇님
d라이브러리
"
태양
"(으)로 총 4,409건 검색되었습니다.
05 푸른 향기 가득한 우주정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야구 방망이만한 오이와 비타민A 함유량이 더 높은 토마토를 얻었다. 우주의 무중력과
태양
복사로 식물의 DNA가 바뀐 것이다. 우주정원에서 기른 샐러드NASA는 2002년 우주왕복선 애틀란티스호를 이용해 우주에서 재배한 콩을 가져오는데 성공했다. 4개월 전 우주정거장으로 가는 엔데버호에 콩 ... ...
갈색구름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오염물 수프’인 셈이다. 갈색구름이 갈색을 띄고 있는 이유는 이런 오염물들이
태양
에서 오는 가시광선을 흡수하거나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갈색구름의 층 두께는 오염원이나 그 지역의 기상, 지형적 여건에 따라 수백m에서 수km에 이른다. 갈색구름은 동남아시아와 미국 그리고 아프리카 ... ...
한국 숲은 이산화탄소 청소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관측탑이 태풍 ‘매미’에 의해 쓰러져 다시 세워야 했다. 또 이 지역은 안개가 잦아
태양
발전기만으로 관측탑 운영에 필요한 전력을 감당할 수 없어 일주일에 한번씩 상당량의 자동차용 충전지를 직접 날라야 한다. 게다가 안정된 연구 조건이 아직 확보되지 못한 상태다. 필자를 포함한 우리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돌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에 매료돼 있던 그는 이것을 보고
태양
계의 모형이 바로 이곳에 있다고 생각했다.목성의 위성은 소형망원경으로도 대단히 잘 보인다. 망원경이라고 이름 붙은 것이라면 그리 어렵지 않게 이 위성들의 묘기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과거의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찾아낼 수 있다.난류에 대한 성 교수의 설명이 이어진다. “난류는 특정 지역에 편중된
태양
에너지를 지구 전역에 최대한 빠르고 고르게 전달하는 성질이 있어요. 기체 주변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복잡한 움직임을 정확하게 예측해 기체를 설계한다면 공기 저항을 거의 받지 않고 에너지 효율이 매우 ... ...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오늘날까지 팽창해온 시간이 약 137억년인데, 이것이 바로 ‘현재 우주의 나이’가 된다.
태양
계가 속해있는 우리은하가 형성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120억년 전의 일이다. 즉 우리은하의 나이가 120억살이라는 뜻이다.우주의 나이나 우리은하의 나이와 비교해보면 1억살짜리는 물론 10억살짜리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결과가 발표됐다.지구 자체도 안전할 수 없다. 지자기는 지구 바깥에 자기권을 형성해
태양
풍과 우주방사선을 막아준다. 오로라가 그 증거다. 지구 표면으로 들어오지 못한 고에너지 입자들이 지구자기장을 따라 극지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층대기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빛이 오로라이기 때문이다.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검고 길게 이어진 먼지 띠에서 아직 태어나지 않은 2500개 이상의 태아별을 찾아냈다.
태양
보다 가벼운 이들은 엄마 뱃속 같은 가스 구름에 500만년간 둘러싸여 있었다고 한다. 가스 구름이 계속 수축해 태아별 중심부에서 수소가 타기 시작하면 별이 무더기로 탄생할 것이다.인류 최초의 세계 일주 ... ...
6년만에 일어나는 1등성 성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것이다. 이런 현상은 항상 복잡한 문제를 일으켰다.만유인력과 행성운행의 법칙으로
태양
계 행성들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게 된 이후에도 달의 움직임은 여전히 골칫거리였다. 큰 흐름은 만유인력의 법칙을 따르지만 지구뿐 아니라 수많은 다른 천체들의 영향도 받기 때문에 달의 움직임에 미세한 ... ...
창의세상 -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가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창의세상에서는 ‘눈 깜빡할 새’라는 순간에 일어나는 광합성 과정을 밝혀 100% 효율의
태양
전지를 꿈꾸는 초고속광물성제어연구단, 물 속에서 110km 속도로 가장 빨리 헤엄치는 돛새치의 비밀을 밝혀 자동차만큼 빠른 잠수함을 만들려는 난류제어연구단, 종이비행기로 적진을 정찰하려는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