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스페셜
"
공동
"(으)로 총 3,012건 검색되었습니다.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
2016.08.08
무너지면서 엄청난 양의 물이 쏟아진 결과로 밝혀졌다. 중국 베이징대 등 여러 기관의
공동
연구자들은 하나라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황하 중류 일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지진의 흔적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당시의 상황을 재구성했다. 이에 따르면 한 해에 지진이 일어났고 그 결과 티벳 고원 ... ...
우주의 비밀 풀기위해 한국에 모인 암흑물질 연구자들
IBS
l
2016.08.02
성능과 효율을 높이고자한다. 립카 교수는 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에
공동
연구를 제안하며 액시온 탐색에 적극 나설 계획을 알렸다. 이번 PATRAS 워크숍에 참가한 연구진들은 19일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액시온을 비롯해 암흑물질을 검출하고자 쏟고 있는 노력에 대해 설명했다.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이제 사라진 것 같다. 따라서 꿀잡이새는 야생 상태의 동물로서는 유일하게 사람과
공동
작업을 하는 종인 셈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 ...
규제 없는 시장이 열대바다 물고기 씨 말리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물고기 양이 많은 15개 산호초 지대에서는 물고기의 과도한 남획을 막기 위한 마을
공동
체 활동이 활발했으며, 그 결과 서식하는 물고기 양도 적절히 유지된 걸로 나타났다.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독일의 파울 에를리히가 노벨생리의학상을
공동
수상하기에 이르렀다. 당시 에를리히는
공동
수상에 대해 불만이 많았는데 자신의 업적이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실제 적응면역의 실체, 즉 항체가 항원(병원체)에 대응하는 메커니즘이 점차 밝혀지면서 면역은 사실상 적응면역을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박성진 미국 하버드대 위스생물공학연구소 전임연구원 팀은 서강대, 미국 스탠퍼드대와
공동
으로 생체모방 가오리 로봇을 개발해 ‘사이언스’ 8일자에 발표했다. 납작한 몸통에 긴 꼬리를 가진 가오리는 머리에서 꼬리까지 웨이브를 타며 빠르게 헤엄칠 수 있다. 에너지 효율도 높아 잠수함이나 ... ...
나노과학의 대가, 세계 최고를 꿈꾼다
IBS
l
2016.07.04
충분히 지원되니 가능한 것”이며 “평소에도 혼자서 연구하기보다 유기적으로
공동
연구(collaboration)를 해야 큰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2014년 이후 연구단은 IBS 내부에서 시너지를 창출하며 특히 의료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를 내고 있다. 예를 들어 파킨슨병 같은 운동장애를 ... ...
소수성-친수성, 두 가지 성질 동시에 갖는 신소재 개발
2016.07.03
성과가 실렸다. 스티즌 머텐스 벨기에 루벵대 연구원 팀은 스위스 취리히대 연구진과
공동
으로 전류의 유무에 따라 소수성과 친수성을 모두 갖는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네이처’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백금족 원소인 로듐(Rh) 표면 위에 얇은 질화붕소를 생성시켰다. 로듐과 질화붕소는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
2016.06.20
배제된 건 아니다. 더 많은 발굴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번 두 편의 논문에
공동
저자로 이름이 오른 마이크 모우드 교수는 2013년 63세에 암으로 사망했다. 호빗 두개골을 지켜보는 포즈를 취한 모우드 교수. - 울런공대학 제공 ● 호빗의 연대추정 오류 밝혀져 이보다 앞서 ‘네이처’ 4월 2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6.12
호킹 박사는 스트로밍거 미국 하버드대 교수, 말콤 페리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와
공동
으로 블랙홀에 빨려 들어간 물체가 다시 빠져나올 수 있다는 이론적인 근거를 발견했다고 물리학 분야 권위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10일자에 발표했다. 호킹 박사는 “이론적으로 블랙홀에 들어가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