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공동"(으)로 총 3,012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2016.12.31
- John Bohn)은 진의 남편이다. 두 사람은 대학원시절 만나 결혼했고 같은 연구소에서 일하며 공동연구도 많이 했다. 천재 여성 과학자의 때 이른 죽음이 더 안타까운 이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 ...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대중들로부터 폭발적인 호응을 얻었다고 설명했다. IBS·MPI·RIKEN 과학자들, 국제 학술 공동 콘퍼런스 진행 행사 양일간 IBS 과학자들은 막스플랑크연구소(MPI)와 이화학연구소(RIKEN)에서 온 여러 과학자들과 함께 △IBS-MPI 신물질과학 콘퍼런스 △IBS-MPI 혈관생물학 콘퍼런스 △IBS-RIKEN 희귀동위원소 ...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것이 없을 것이라고"라고 주장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단장은 그 착안을 밀고 나아가, 공동연구자인 벨기에 솔베이 연구소 마크 헤노(Marc Henneaux) 소장과 함께 분석하여, 3차원 우주(2차원 공간에 시간을 더한 우주)에서 확장된 중력이론으로 블랙홀 안의 정보를 정확히 세는 방법을 알아내 논문을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2016.12.21
- 대한 연구를 함께 했다. 이 무렵 구럴닉의 친구인 칼 헤이건이 ICL에 오면서 세 사람의 공동연구로 발전했고, 약력을 매개하는 기본입자에 질량을 부여하는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하는 논문으로 결실을 맺었다. 이들의 논문은(앞서 나온 두 논문을 포함해서) 당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1967년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2016.12.20
- 기꺼이 도움을 주면서도 ‘상당한 지적 기여’를 했다고 판단하지 않는 한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걸 거부했다. 후배 과학자들이 하루 빨리 경력을 쌓아 독립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뛰어난 학자이자 존경받는 스승으로 학계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던 한스키는 그러나 2014년 암 진단을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2016.12.19
- 부고를 썼고 올해 역시 ‘네이처’에 칼텍의 제임스 히스 교수(1985년 풀러렌 논문의 공동 저자)와 함께 크로토의 부고를 썼다. ‘세상에 온 순서는 있어도 가는 순서는 없다’는 옛말이 실감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 242억 원 짜리 다이아몬드, 어떻게 생겨났을까동아사이언스 l2016.12.18
- 없고, 수컷이 암컷의 알을 수정받아 새끼를 낳는다. 중국 과학원(CAS)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진은 해마의 전체 유전자를 해석해 해마가 이런 특성을 갖게 된 원인을 분석했다. 연구진은 약물, 수족관 등 가장 활발하게 거래되는 종인 ‘호랑이 꼬리 해마(Tiger-tale)’의 유전자를 분석했다. 일단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1] 잠과 꿈의 유전학 - 잠꾸러기 생쥐와 꿈 안 꾸는 생쥐2016.12.05
- 제공 ● 비렘수면만 늘어나거나 렘수면만 짧아져 일본 쓰쿠바대와 미국 텍사스대 등 공동연구자들은 생쥐에 임의의 돌연변이를 일으켜 수면 패턴에 이상을 보이는 개체를 찾아 분석한 결과 수면 시간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렘수면 시간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았다고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DNA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2016.11.28
- 담은 논문이 실렸다. 프랑스 리용신경과학연구소와 캐나다 몬트리올신경학연구소의 공동연구자들은 냄새에 대한 지각과 생리반응에 미치는 문화와 정보의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을 했다. 몬트리올이 속한 퀘벡 지역은 프랑스어권이기 때문에 언어의 차이라는 변수를 없앨 수 있다. 연구자들은 퀘벡 ... ...
- 별은 어떻게 태어날까?2016.11.01
- 논문이 실렸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전파천문학) 라우라 페레즈 박사팀과 다국적 공동연구팀은 역시 ]ALMA으로 이 멋진 장면을 포착하는데 성공했다. 지구에서 139파섹 떨어진 거리에 있는 어린 별 엘리아스(Elias)2-27 주위에는 여전히 원반이 남아있는데 이번 관측결과 분자구름이 나선 두 개로 ... ...
이전2562572582592602612622632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