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제목이 ‘겨울’왕국인 만큼 다양한 눈을 잘 묘사해야 해. 그래서 조셉 테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 교수팀에게 눈을 묘사하기 위한 알고리듬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어. 고체지만 쉽게 부서지고, 물처럼 모양을 바꾸기 쉽다는 특징이 있어 기존의 방법으로는 만들기 ... ...
- [미국유학일기] 3주 겨울방학은 휴식, 석 달 여름방학은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돌아보면 방학마다 매번 알차게 잘 보낸 것 같아 뿌듯하다. (굿바이! 또 만나요! ‘나의 미국 유학 일기’는 이번 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2020년 1월호에 ‘유학 일기’ 시즌 2로 독자 여러분을 찾아가겠습니다. ... ...
- [가상인터뷰] 사람만큼 오래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무리 중에서도 나이가 가장 많았어. 연구팀은 내 나이를 알고 깜짝 놀랐어. 왜냐면 1999년,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 크레이그 파우커트 연구팀이 이석의 나이테로 빅마우스 버팔로의 나이를 추정했을 때 최고령이 26세였거든. 그보다 나이가 한참 많았으니 놀랄 만도 했지. 이석으로 나이를 ... ...
- [섭섭박사 실험실] 데굴데굴 물방울 구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겪으면 다시는 이곳에서 노상방뇨를 하지 않겠죠? 모기도 초소수성을 이용해요. 2015년,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연구팀은 모기의 머리와 날개가 초소수성을 띠기 때문에 빗속에서 비행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빗방울은 모기보다 질량이 50배나 커요. 비행을 하던 모기가 빗방울에 맞으면 ... ...
- [과학뉴스] 인간의 척추는 왜 이런 모양?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비해 포유류는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복잡한 척추구조를 갖추고 있다.스테파니 피어스 미국 하버드대 유기체및진화생물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포유류의 척추 구조가 파충류보다 복잡하게 진화한 이유를 밝혀냈다. 포유류와 파충류의 공통조상인 단궁류의 화석을 연구하던 연구팀은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붙어 있는 물질들의 화학반응을 매개하는 것이다. 강 교수는 이런 사실을 알아내 2018년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물리화학레터스’에 발표했다. doi: 10.1021/acs.jpclett.8b01825 결정 구조만 17가지지금까지 얼음 결정은 육각형이라고 계속 언급했다. 하지만 사실 모든 얼음 결정이 육각형인 ... ...
- 탄소를 품어 지구를 지키다, 해안의 보물, 갯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지구온난화를 믿지 않는다’며 공공연히 탈퇴를 예고했던 터라 새삼 놀랍지는 않다. 미국과 같은 주요 온실가스 배출국의 파리협정 탈퇴는 분명 전체 목표 달성에 큰 영향을 미치겠지만, 다행히 중국과 프랑스 등 파리협정에 서명한 나머지 194개 국가는 계속해서 협약한 목표를 이어가기로 했다. ...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파란색 우주복을 공개했다. 브랜슨 회장은 우주복을 직접 입고 모습을 드러냈는데, 미국 SF드라마의 고전 ‘스타트렉’의 우주복과 닮았다는 평을 얻었다. 그는 “우주복은 우주여행에 대한 인상을 결정한다”며 “제2의 우주탐사 시대를 앞두고 우주복의 디자인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버진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뇌 영상 자료를 처리해야 하는 만큼 인공지능(AI)의 딥러닝 알고리즘이 활용됩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연구팀이 올해 4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언어 합성 연구가 대표적입니다. 연구팀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해 측두엽 일부에서 얻은 뇌 신호를 언어로 바꿔 ... ...
- [융복합파트너@DGIST]이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줄어든다. 반면 지렁이는 열대지역에서 종 다양성이 가장 낮았다. 종 다양성은 유럽, 미국 북동부, 남미의 남쪽 끝, 뉴질랜드와 호주 남부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렁이의 밀도(단위면적당 개체수)와 생물량(단위면적당 총 질량·g/m2)도 동일한 패턴을 보였다. 이때 지렁이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