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점점 더 진화하는 이모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확인해 보세요. 이해가 되나요? 심지어 한 권 전체가 이모지인 책도 있어요. 2009년,
미국
의 개발자인 프레드 베넨슨은 허먼 멜빌의 소설 을 이모지로 다시 쓴 을 출판했죠.책 한 권을 통째로 쓸 정도면 이모지도 언어라 볼 수 있는 것일까요? 영국의 언어학자 비비안 에반스에 ... ...
기생충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최대로 회복되는 데 30년이 걸린 반면, 연가시는 50년 이상이 걸렸답니다. 또한 2017년
미국
UC버클리대학교 연구팀은 생태계에서 흔히 발견되는 주요 기생충 457종에 관련된 연구 자료를 분석해 ‘2070년에는 기후변화로 주요 기생충의 3분의 1이 멸종할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5~10%의 기생충이 ... ...
이모지(Emoji)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만난 친구들이 많을 거야. 일본에서 태어난 우리는 지금은
미국
에서도, 한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지. 우리가 널리 쓰인 지도 벌써 20년! 그동안 어떤 일이 있었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지금은 인터넷은 그림문자 시대?! Part1.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 ... ...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2016년부터는 제가 만든 이모지가
미국
뉴욕현대미술관의 현대 미술 컬렉션에서 전시되고 있어요!Q제일 좋아하는 이모지가 무엇인가요?긍정적인 스마일리가 가장 이모지다운 이모지라 생각합니다 ... ...
[핫이슈]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바이오블리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 때문에 빠르게 줄어드는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1996년
미국
에서 시작된 활동으로 이후 전세계로 퍼졌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부터 시작돼 올해 10회를 맞이했어요. 올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에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25명을 포함해 총 300명이 탐사에 참여했지요 ... ...
기생충이 사람을 고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질환이 늘어나는 거예요. 이를 역으로 활용하면 병을 치료할 수 있답니다.2005년,
미국
아이오와대학교 로버트 서머스 교수는 크론병의 해결책으로 돼지편충을 제안했어요. 크론병은 장속의 면역체계가 지나치게 활동해서 면역세포가 오히려 우리 몸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 중의 하나예요.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중독을 비롯한 각종 정신질환을 앓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수바시 팬디
미국
일리노이대 후성유전알코올연구센터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쥐(래트) 실험을 통해 청소년기 알코올 섭취가 성인기에 뇌 유전자 발현에 악영향을 주고 불안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e뉴로’ 11월 1 ... ...
[과학뉴스] ‘웃음 가스’로 만든 테라헤르츠 레이저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적은 폭의 특정 테라헤르츠만 생성할 수 있어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와 매사추세츠공대(MIT), 미 육군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대역 폭의 테라헤르츠파를 생성할 수 있는 광원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웃음 가스’로 알려진 아산화질소(N2O)를 이용했다. 상온에서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 지도' 최초 공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대기층으로 인해 지구에서는 타이탄의 표면을 일부 관측하는 데 그쳤다.로살리 로페즈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선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2017년 임무를 마치고 토성 대기권에 진입하며 생을 마감한 토성 탐사선인 카시니호의 자료를 바탕으로 타이탄의 지도를 재구성해 국제학술지 ... ...
[과학뉴스]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적이 없다. 이는 과학자들이 풀지 못한 ‘나일강 미스터리’였다.클라우디오 파세나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지질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북아프리카 대륙판에서 맨틀이 나일강의 물줄기를 지탱하고 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질학’ 11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금까지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