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생충이 사람을 고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질환이 늘어나는 거예요. 이를 역으로 활용하면 병을 치료할 수 있답니다.2005년,
미국
아이오와대학교 로버트 서머스 교수는 크론병의 해결책으로 돼지편충을 제안했어요. 크론병은 장속의 면역체계가 지나치게 활동해서 면역세포가 오히려 우리 몸을 공격하는 ‘자가면역질환’ 중의 하나예요. ... ...
[과학뉴스] 두 발 로봇 '캐시', 전동 슈즈를 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호버 슈즈라는 전동 롤러스케이트를 신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교육했어요. 캐시는
미국
로봇회사 애질리티 로보틱스에서 처음 개발한 두 발로 걷는 로봇이에요.사람도 호버 슈즈를 타기 위해선 오랜 시간 연습해야 해요. 호버 슈즈는 몸을 기울이는 방향에 따라 앞으로 나가거나 뒤로 움직이는데, ... ...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2016년부터는 제가 만든 이모지가
미국
뉴욕현대미술관의 현대 미술 컬렉션에서 전시되고 있어요!Q제일 좋아하는 이모지가 무엇인가요?긍정적인 스마일리가 가장 이모지다운 이모지라 생각합니다 ... ...
[핫이슈]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바이오블리츠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 때문에 빠르게 줄어드는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해 1996년
미국
에서 시작된 활동으로 이후 전세계로 퍼졌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0년부터 시작돼 올해 10회를 맞이했어요. 올해 바이오블리츠 코리아에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25명을 포함해 총 300명이 탐사에 참여했지요 ... ...
점점 더 진화하는 이모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확인해 보세요. 이해가 되나요? 심지어 한 권 전체가 이모지인 책도 있어요. 2009년,
미국
의 개발자인 프레드 베넨슨은 허먼 멜빌의 소설 을 이모지로 다시 쓴 을 출판했죠.책 한 권을 통째로 쓸 정도면 이모지도 언어라 볼 수 있는 것일까요? 영국의 언어학자 비비안 에반스에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고무줄 총과 코딩 과녁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나도록 했지요. 이 게임을 만들기 위해 ‘아이팝콘’을 이용했어요. ‘아이팝콘’은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미디어 랩에서 만든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스크래치’를 이용하는 코딩 제품이에요. 아이팝콘은 아이팝콘 기기와 아이팝콘 앱으로 구성돼 있어요. 아이팝콘 기기에는 버튼과 ... ...
지구방위대 모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6번째 학회가 열렸어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가상의 소행성 ‘2019 PDC*’가
미국
에 추락하는 모의 훈련 시나리오를 준비했지요. 과학자들은 마치 실제 상황인 것처럼 머리를 맞대고 추락을 피할 궁리를 했답니다. 용어정리*소행성 :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천체 중 행성보다는 작지만 ... ...
[섭섭박사 실험실] 데굴데굴 물방울 구슬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겪으면 다시는 이곳에서 노상방뇨를 하지 않겠죠? 모기도 초소수성을 이용해요. 2015년,
미국
조지아공과대학교 연구팀은 모기의 머리와 날개가 초소수성을 띠기 때문에 빗속에서 비행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빗방울은 모기보다 질량이 50배나 커요. 비행을 하던 모기가 빗방울에 맞으면 ... ...
[과학뉴스] 블랙홀이 내던진 별, 10배 빨리 이동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관측을 통해 이를 증명하려고 했지만 끝내 발견하지 못했다.그런데 세르게이 코포소프
미국
카네기멜론대 물리학과 교수가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블랙홀에 의해 은하를 빠르게 벗어나는 별을 관측해 국제학술지 ‘왕립천문학회 월보’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이 별은 S5-HVS1으로 불리며,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양자화학과 양자물리 등에 적용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5. 죽은 돼지의 뇌세포 부활
미국
예일대 의대 연구팀은 생물학적으로 죽은 지 약 4시간이 지난 돼지의 뇌 신경세포를 되살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4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된 연구팀의 설명에 따르면 돼지의 뇌세포에 특수 용액을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