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2020년, 도시공원이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바쁘다 바빠! 2020년 5월 15일, 오늘은 공원에 사는 동물 식구들 모두가 이사하는 날이야. 저기 나무밑에 사는 개미부터 고목나무에 둥지를 튼 딱따구리까지 모두 다른 곳으로 떠나야 하지. 갑자기 단체로 웬 이사냐고? 그 이유를 들려줄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20년, 도시공원이 ... ...
- Part 3. 도시공원은 또 하나의 생태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공원은 나처럼 다양한 생물이 사는 곳이기도 해. 울창한 산으로 이루어진 공원뿐만 아니라 도심 한가운데 있는 공원에도 많은 생물이 살고 있지. 아파트 숲은 작은 국립공원!도시공원에는 식물, 곤충, 새 등 여러 생물 종이 작은 생태계를 이루며 살고 있어요. 2010년 서울시의 조사 결과 청계산, ... ...
- [가상인터뷰] 인간에게서 ‘잠수 적응 유전자’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수치를 높여서 비장을 크게 만든 것이라 추측하고 있어. 연구에 참여한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의 에스케 윌러슬레프 교수는 “소수 민족이 알려줄 과학적 사실이 많다”며, “소수 민족이 사라진다면 큰 손실”이라고 말했어. 바자우족이 전통을 지키며 살 수 있도록 친구들도 많이 응원해줘 ... ...
- 교차점을 줄여라! 벽돌공장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2018년 퍼털 흐린언 체코 마사리코바대학교 교수와 카르스텐 토마센 덴마크공과대학교 교수는 최소 교차점 수가 홀수인지 짝수인지 결정하는 것조차 NP-난해라는 것을 밝혔습니다. 즉 최소 교차점 수가 홀수인지 다항식 시간에 알 수 있다면 P=NP가 돼, 다른 어려운 모든 NP-난해 문제도 모두 다항식 ... ...
- [이승재의 매스일레븐] 강팀 이겨야 유리한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2018년 8월 16일 국제축구연맹(FIFA)의 발표에 세계 축구팬의 이목이 쏠렸습니다. 강팀을 이겨야 순위가 더 올라가는 새로운 FIFA 랭킹 시스템을 적용한 첫 순위를 공개했거든요. 그 결과 기존 1위였던 독일 국가대표팀의 순위는 15위로 대폭 추락했습니다. 독일의 순위를 끌어내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 ... ...
- 인류의 눈 위 뼈가 평평해진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만드는 두꺼운 눈위 뼈는 현대 인류로 진화하면서 평평해졌죠. 지난 4월 9일, 영국 요크대학교의 리카르도 고디노 교수 연구진은 눈 위 뼈가 평평해진 이유가 눈썹으로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라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먼저, 연구진은 고대 인류의 눈 위 뼈가 얼굴을 보호하거나 음식을 씹는 데 ... ...
- Intro. 메이드 인 스페이스, 우주공장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안녕? 난 우주 배달부야. 혹시 친구들이 이 택배의 주인이니? 그럼 조금만 더 기다려 줄래? 지금 막 우주공장에서 만들어진 제품을 지구로 배달할 거거든. 아, 그런데 왜 우주에서 제품을 만들었냐고? 그럼 우선 날 따라와. 우리 우주공장을 소개할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메이드 ... ...
- Part 1. 무중력을 이용하라! 우주공장의 매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우주공장에서는 대류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답니다. 충남대학교 이창수 교수는 “우주에서 결정끼리 겹치거나, 불순물이 섞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우주에서는 물질의 정확한 구조를 알아낼 수 있고, 이를 의약품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 Part 3. 수학 문제도 컴퓨팅 사고력으로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수학 교육에 컴퓨팅 사고력을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김준석 고려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중학생도 풀수 있는 수학 문제를 ‘옥타브’ 프로그램을 이용해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책 ‘코딩수학’을 시리즈로 내고 있습니다. 김 교수는 메르스 같은 전염병이 어떻게 퍼지는지 ... ...
- 꿈틀꿈틀! 미분하는 벌레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생각 같은 일을 한다는 건 상상이 되지 않는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스라엘 히브리대학교 유전학과 연구팀의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벌레는 생각을 많이 해야 풀 수 있는 미분 문제의 달인이다. 미분은 고등학교에서 처음 접하는 수학 기법이다. 어떤 함수가 있을 때, 그 함수가 어떻게 ... ...
이전259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