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아마추어 과학자들의 대활약!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안녕! 나는 취미로 스파이 위성을 찾는 아마추어 과학자! 요즘 나처럼 취미로 과학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다며? 나도 질 수 없지! 위대한 발견을 위해 날마다 눈이 빠져라 위성 신호를 찾고 있는데…. 어? 마침 모니터에 수상한 신호가 잡힌 것 같아!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아마추어 ... ...
- Part 1. 인공위성 IMAGE를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수수께끼의 전파, 12년 전 끊긴 인공위성의 신호?!지금으로부터 18년 전인 2000년 3월 2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이미지(IMAGE)’라는 인공위성을 발사했어요. 이 위성은 5년 동안 지구 주위를 돌면서 지구 자기장이 미치는 자기권과 태양풍 입자들의 상호작용을 관측하며 수많은 데이터를 보내 왔 ... ...
- Part 3. 구름, 파도 같은 구름을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새 구름으로 인정하자는 캠페인을 벌였답니다. 2017년 5월에는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팀이 아마추어 과학자들이 찍은 사진 속 GPS 데이터를 이용해 아스페리타스가 만들어지는 조건을 밝혀냈어요. 당시의 적외선 위성 이미지와 일기 예보, 레이저 구름 측정치 등을 분석한 결과, 아스페리타스는 1000~2 ...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전염병 확산도 튜링 모형을 이용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정수 필터2018년 5월 중국 저장대학교 연구팀이 정수기 필터를 만들 때도 튜링 모형이 이용될 수 있다는 걸 보였습니다. 연구팀이 기름과 물 사이에 ‘폴리아미드’ 막을 만든 뒤, 물에 ‘폴리비닐 알콜’을 첨가하자 기름의 확산 속도가 ... ...
- [수학뉴스] 우주에선 중력파로 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고전 및 양자중력’ 9월 5일자에 발표했습니다.니나 마르코바 러시아 민족우호대학교 연구팀은 중력파의 성질을 아핀 공간에서 분석해 왜곡 없이 정보를 보낼 수 있는 이론적인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중력파는 두 개의 블랙홀이 하나로 합쳐지는 것처럼 우주에서 엄청난 중력 변화가 ... ...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수학동아 l2018년 11호
- 것이지요. 끝내지 못했기 때문에 반복해서 생각난다는 게 그의 주장입니다.영국 레딩대학교 연구팀은 껌을 씹는 걸 추천합니다. 음악을 듣고 기억하는 뇌의 부위는 청각뿐 아니라 말하기를 담당하는 곳과도 연관돼 있기 때문에 껌을 씹으면 귀벌레 현상을 만들지 못한다는 것이지요. 지금 이 순간 ... ...
- [현장취재] 수청이와 제비의 계절이 돌아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함께 각 생물의 특징과 탐사방법을 익히는 귀한 시간이기 때문이지요. 대원들은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 배윤혁 연구원, 정다미 연구원 등 실제로 현장에서 연구하고 있는 생태학자들을 만나 각 생물의 모습이나 행동에 대한 설명을 듣고 개별 탐사를 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 ... ...
- Part 2. 초신성, 폭발 순간을 관측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이 순간을 우연히 발견할 확률은 1억분의 1에 불과하다”고 말했어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알렉스 필리펜코 교수도 “부소의 발견은 우주의 복권에 당첨된 것과 같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아마추어 과학자와 전문 과학자들 사이의 훌륭한 협력 덕분에 가능했다”고 ... ...
- Part 5. 장내미생물, 똥을 보내면 우리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도록 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말했답니다. [인터뷰] 천종식(천랩 대표이사,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장내미생물이 좋아하는 음식을 드세요!” Q스마일바이오미 프로젝트로 무엇을 알 수 있나요?장내미생물은 식습관이나 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요. 그래서 나라마다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일반화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문제가 풀리지 않자 리벳 교수는 베리 메저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학과 교수에게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하고 편지를 썼다. 하지만 메저 교수로부터 답장을 받지는 못했다. 기회는 우연히 찾아왔다. 1986년 세계수학자대회가 자신이 재직 중인 UC버클리에서 ... ...
이전255256257258259260261262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