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2. 중력자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아인슈타인의 중력이론인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중력파가 존재해야 한다. 그러나 중력파의 존재는 현재까지 간접적으로만 확인될 뿐 직접 검출되지 않고 ... 중력파가 성공적으로 검출된다면 이는 또 한번의 개가가 될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천체
관측
의 새로운 창을 얻게 될 것이다 ... ...
5. 솔리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바다 속으로 내려가던 파이프가 갑자기 60m에서 200m의 깊이에서 심하게 흔들리는 것이
관측
됐다. 당시 석유탐사에 참여했던 오스본 박사는 그 원인이 바다 내부에서 만들어진 솔리톤 때문이라고 1980년 과학잡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바다 속에서 솔리톤이 생기는 것은 염분 농도나 수온이 균일하지 ... ...
하늘지도로 별찾기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인터넷에서 즐기는 별자리● http://simac.kaist.ac.kr/~mkshin/starflower/starflower.htm한글로 된 천체
관측
프로그램 '별바라기 1.0'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별자리 외에 태양, 달, 행성, 소행성, 혜성, 인공위성의 위치 및 궤적 등이 자세히 표시돼 있다.● http://www.hawastsoc.o ...
4. 쿼크와 힉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CP 대칭성이 깨지는 현상을
관측
하려는 실험들이다.B-중간자의 붕괴에서 CP 대칭성이
관측
될 가능성은 현재 입자물리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비록 6개의 쿼크가 모두 발견됐지만 이들의 성질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많이 진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 쿼크가 더 작은 새로운 입자들로 ... ...
지구에 충돌한 운석 흔적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곧 사라진다. 그래도 충돌의 흔적으로 추측되는 곳이 전세계적으로 1백40여군데 가량
관측
되고 있다.미국 애리조나주에 있는 밸린저 운석공이 가장 유명한 편이다. 지름 1.2km 정도.그러나 학자들 중에는 북미의 5대호 중에서 미시건호와 휴런호가 이루는 지름 약 5백km의 둥그런 지형도 운석이 낙하한 ... ...
소행성 '세종' 이름 붙인 일본 천문학자 내한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확대와 국가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과 밝히고, 이번 후루가와 교수의 내한을 계기로 천문
관측
이 활성화돼 내년쯤에 한국인이 발견한 소행성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내다봤다 ... ...
뉴턴역학 실험실 놀이동산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관찰된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운동은
관측
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관측
된다. 배를 타고 있는 사람은 물이 정지해 있는 것으로 느낀다. 이것이 후룸라이드의 흥미를 배가시킨다. 따라서 운동과 정지를 완전하게 구별할 수 있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범퍼카작용 반작용의 ... ...
1. 프랑스혁명이 탄생시킨 미터법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너무 큰 작업이므로 위도 45도 근방의 호의 길이를 재기로 했다. 더불어 초진자의 길이를
관측
하기 위한 기준 위도를 확정한 후, 초진자의 길이를 측정했다.이어서 중량의 단위를 측정하기 위해 얼음이 녹는 온도에서 부피를 잰 증류수의 무게를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프랑스에서 사용되는 옛 ... ...
별은 왜 반짝일까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먼지 같은 부유물이 비에 씻겨서 대기의 투명도가 좋아졌기 때문이다. 우리가 좋은
관측
지를 찾아서 야외로 나가고 높은 산 위에다 천문대를 세우는 것도 바로 좋은 투명도와 시상을 가진 곳을 찾아가 별을 보기 위해서인 것이다. 별같이 많은 별 헤아릴 수 있을까공해로 찌들어버린 도시의 하늘을 ... ...
우주에서 가장 먼 천체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먼 천체보다 9천만광년이나 더 먼 젊은 은하 RD1이 존스홉킨스대학의 아르준 데이 박사팀에 의해 발견됐다. 하와이의 마우나케아 천문대 ... 케크Ⅱ 망원경으로 후속
관측
들을 계속 수행하고 있으며,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이 은하를
관측
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 ...
이전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