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모양의 변화를 FRET 신호의 변화로 관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이전에 밝혀
지지
않았던 새로운 helicase의 모양을 찾아내고 여러 모양들 사이에 왔다갔다하는 반응률도 직접 잴 수 있었다. 모터 분자들이 어떻게 화학 에너지를 사용해서 작동하는지를 밝혀내는데 이 단일 분자 FRET가 큰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바퀴는 땅과 닿는 순간 속도가 0이다. 이것은 땅에 닿고 있는 바퀴가 바닥에 미끄러
지지
않는다는 말이다. 따라서 마찰력이 존재해도, 바퀴에 어떤 일도 하지 않는다. 바퀴는 땅과 순간적으로 붙었다가 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로 인한 에너지 손실이 없다. 그래서 바퀴는 한번 굴러가면 계속해서 ... ...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있었다면 그리 큰 문제가 아니었겠지만 공교롭게도 ‘욕조’에는 아직 코팅이 씌워
지지
않은 상태였다. 알코올이나 벤젠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해 립스틱 자국을 녹이는 기존의 복원법으로는 그림을 완전히 복원할 수 없다. 녹은 립스틱이 다공성의 캔버스 천 속으로 더욱 깊이 침투해 보기 흉한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상당히 비열이 큰 물질이지요. 따라서 열을 얻거나 잃어도 별로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아
지지
않는 편입니다. 이런 성질은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문: 그렇다면 물은 왜 비열이 크지요?답: 한마디로 분자들이 서로 끌어당기는 힘, 즉 분자간력이 매우 크기 때문입니다. 물분자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아직 속시원하게 확산과 얼음 표면구조가 어떻게 눈 결정 형성에 관여하는지는 밝혀
지지
않고 있다. 눈 결정이 왜 그렇게도 다양하게 성장하는지는 열린 문제다 ... ...
남자는 에어로빅, 여자는 헬스가 제격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외형이 갖춰질지 모르겠지만,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지구력이 별로 길러
지지
않는다. 따라서 건강 증진의 측면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오히려 근육 운동은 남성보다 여성이 더 많이 해야 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여성의 근육은 남성에 비해 50% 밖에 미치지 않는다. 여성 ... ...
왜 내 차선이 제일 느릴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같은 준안정한 교통 흐름이 생길까. 교통 흐름의 준안정성에 대해서는 아직도 밝혀
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하지만 한가지 확실한 사실은 흔히 생각할 때 가장 이상적인 교통 상황, 즉 단위 시간 당 차량 통과 대수가 최대가 되는 상태가 불행히도 과냉각수와 비슷한 준안정 상태라는 사실이다. 이처럼 ... ...
성인 당뇨병 관련 유전자 밝혀져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질병으로, 전체 당뇨병 환자의 90%를 차지한다. 성인 당뇨병 환자는 당분해가 제대로 이뤄
지지
않아 활동력이 떨어지며 체중이 늘게 된다. 이제까지 최상의 치료는 식이요법과 운동뿐이었다. 그러나 이런 치료로는 당뇨병으로 인한 여러 합병증을 막을 수 없었다.연구팀은 SHIP2 유전자가 작동하지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되는데, 이때 마찰열로 미르의 동체는 파괴된다. 하지만 일부 튼튼한 덩어리들은 없어
지지
않은 채 지상까지 추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종적으로 추락이 예상되는 곳은 호주에서 동쪽으로 1천5백-2천㎞ 떨어진 남태평양상의 지점이다. 최종 추락시 점은 3월초가 될 것이다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대해 임지순교수의 1대 제자인 유병덕교수(서울시립대 물리학과)는 그의 지도철학에
지지
를 보냈다. “보통 학생들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계산을 정신없이 해요. 그리고 결과를 얻으면 다 풀었다고 생각하죠. 박사과정에 있을 때 저도 그랬어요. 당시 선생님은 결과의 물리적 의미를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