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배아 이용한 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사용할 수도 있지만 윤리적 문제가 크기 때문에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런 시도는 이뤄
지지
않고 있다.폐기될 운명의 냉동배아에서 어떻게 줄기세포를 얻는 것일까. 우선 영하 1백96℃의 냉동상태에서 37℃로 해동해 착상전 단계까지 배양한다.착상전 배아는 태반이나 태막이 되는 영양배엽세포와 ... ...
수술중 환자 사망하면 의사 손 잘라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보복’이라는 사고가 깔려있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실제로는 이 법이 제대로 지켜
지지
않았기에 바빌론 의사들은 많은 수술을 행했으며, 함무라비 법전에는 치료가 잘못됐을 때의 처벌 외에 치료가 성공했을 때 얼마를 지불할 것인가에 대한 기록도 여러가지 기술돼 있다.그리스의 역사가 ... ...
가짜 화석에 울고 웃는 전세계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유명한 작가 코난 도일(Arthur Conan Doyle)도 포함돼 있었다) 정황만 있을 뿐 범인은 결국 밝혀
지지
않았다.아르키오랩터가 남긴 불명예최근 중국의 요동성에서 발견된 한 화석이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이 화석은 1997년 중국 북동부 요동성의 전기백악기 지층에서 한 농부에 의해 발견됐는데,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따라서 제주에 지하수가 있다는 것은 단순히 제주도의 땅 속이 현무암으로만 이뤄
지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현무암층 사이에 응회암이나 퇴적층이 있기 때문에 지하수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해수면 근처의 높이에서부터는 더욱 퇴적층이 많기 때문에 많은 양의 물이 보존되는 것이다.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TV 브라운관도 초고진공상태다. 전자총을 떠난 전자가 도중에 다른 분자와 충돌해 없어
지지
않고 스크린까지 나아가 명확한 상을 보여준다. 마치 가속기가 진공상태인 것처럼 말이다.이처럼 다방면으로 응용되는 진공기술에 대해 세계 각국은 어느 정도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을까. 초기 진공기술이 ... ...
고대 그리스·로마 회화 공작새와 연극 가면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술 때문에 가끔 문제를 일으키는 게 탈이지만. 여기서는 돼지가죽을 잘 묶어서 터
지지
않게 해놓고 그 위에 올라가서 균형을 오래 잡고 서있는 사람이 이기는 놀이를 하고 있다. 포도주의 신 디오니소스 축제일 둘쨋날에 이런 놀이를 했다고 한다. 가죽부대 안에는 바람을 불어넣거나 포도주를 ... ...
다이어트의 새로운 돌풍 비만약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제니칼은 바로 이 리파제의 작용을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지방은 더 이상 잘게 쪼개
지지
못하고 그대로 배설된다.그러나 제니칼은 몇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지방분해효소인 리파제의 활동을 방해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탄수화물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다. 또 제니칼이 차단할 수 있는 지방의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우선 인간의 두눈이 입체감을 느끼는 이유를 살펴보자. 아직 그 이유가 정확하게 밝혀
지지
않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몇cm 거리로 떨어진 두눈 때문이라고 한다.우리의 각 눈은 사물을 볼 때 약간의 다른 각도에서 사물을 포착한다. 시차가 있다는 말이다. 이 사실은 양눈을 각각 한번씩 감아서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이야기되는 가운데서 우리들의 인지가 모여져 정말 화성탐사를 할 수 있는 결과가 만들어
지지
않을까 싶기도 해요.충환_ 저도 이 영화를 보고 나서 기초과학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탄탄하게 다져야겠다는 생각이 더욱 강하게 듭니다 ... ...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지상에서는 이같은 극한 조건을 만들 수 없으므로 대부분의 고세균 배양은 아직까지 이뤄
지지
못하고 있다.우리가 고세균으로부터 알 수 있는 한가지 사실은, 다른 미생물들이 지구의 온도 변화에 맞춰 살아온 반면, 이들 고세균은 지구 생성 초기부터 지금까지 높은 온도에 적응해 살아왔다는 ... ...
이전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