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적확
명확
명료함
엄밀
확실
정밀도
d라이브러리
"
정확
"(으)로 총 5,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나라를 아는 힘, 인구주택총조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또 조사한다모든 통계에는 오차가 생기기 마련이다. 인구주택총조사의 오차를 줄이고
정확
도를 높이기 위해 우리나라는 사후조사를 실시한다. 12월 16일부터 23일까지 8일간, 전체의 1%를 표본으로 골라 다시 조사하는 방식이다 ... ...
뇌 자극으로 수학실력 올려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정확
도에서 가장 큰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자극 전보다 퍼즐을맞추는 속도가 빨라지고
정확
도가 높아진 것입니다. 반면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전기 자극을 받은 집단은 자극 전에 비해 퍼즐을 잘 맞추지 못했습니다.6개월 뒤 효과의 지속성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수학실력 향상에는 전기 자극이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먼저 규모가 크고 신뢰성이 높은 자료가 필요하다. 연도별, 지역별 비교 연구를
정확
하게 해야 가장 알맞은 대책을 세울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이런 조건에 맞는 조사 자료는 IUCN의 적색목록집이다. 조사 항목이 가장 상세한데다 매년 새로운 종을 추가해 보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2000년 1만6000여 ... ...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다. 관측한 자료는 기상청 수치예보관리관실로 보내 수치모델에 입력한다. 입력값의
정확
도가 높아질수록 모델 결과의 오차가 줄어든다.해양기상관측선 한 대로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모든 위험기상의 징후들을 파악할 수는 없다. 따라서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기상1호가 1년간 다닐 곳은 미리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가깝고 표면에는 특수한 미세 돌기가 있다. 그 결과 선수가 공을 다루는 데 유리해져
정확
한슈팅을 할 수 있다.*오일러의 법칙 : 다면체에서 가 항상성립한다는 것.**공인구 : 국제축구연맹이 월드컵경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정한 공.90분 내내 뽀송뽀송한 ... ...
체조에 만점이 없는 수학적 이유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아름다움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스포츠다. 기계체조는 기계라는 제약 속에서 얼마나
정확
하게 연기를 펼치느냐를 겨룬다. 하지만 리듬체조는 음악과 함께 기구를 이용해 얼마나 예술적으로 표현하느냐가 중요하다.리듬체조에 쓰이는 줄과 후프, 공, 곤봉, 리본 등의 기구는 맨손으로는 눈에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별빛가림 현상이 나타난 행성만 가스 행성인지 암석 행성인지
정확
히 알 수 있다. 별빛가림 현상으로 행성을 발견하면 행성의 대기를 이루는 물질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먼저 초대형망원경과 고성능 분광기를 이용해 해당 별을 분광 관측한다. 여기서 나온 관측 결과 ...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나란히 위치해 중력렌즈 현상을 일으키는 시간은 며칠 정도로 짧은 편이다.별 두 개가
정확
히 일치하는 때를 전후해 관측하면 중력렌즈 현상에 의한 밝기 변화는 대칭이 된다. 그러나 지구에 가까운 별에 행성이 있다면 행성이 별의 중력장에 흠집을 내기 때문에 대칭적인 밝기 변화에서 일부 특이한 ... ...
‘시험관 아기’로 신의 섭리 넘어서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노화하는 과정에 대해 세세히 연구하고 수정란이 자궁 내에서 착상하는 과정을 좀 더
정확
하게 규명해야 한다. 필자는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가 이 분야에서 또 한 번 탄생할 만큼, 불임 부부에게 새로운 희망의 빛을 가져다 줄 연구 결과가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단백질의 분자량을 소수점 아래 넷째자리까지
정확
하게 구할 수 있다. 기초연의 질량분석 연구부와 미국 국립 고자기장 연구소가 4년 동안 공동으로 연구해 2007년 개발에 성공한 이 장비는 한국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국제 프로젝트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 ...
이전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