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승인
수긍
긍정
승낙
시인
친절
허락
d라이브러리
"
인정
"(으)로 총 3,017건 검색되었습니다.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인공위성 탐색결과를 지켜본 지구물리학자들은 밀러의 실험이 애초부터 잘못됐음을
인정
하고 있다. 그들은 한결같이 초기 지구대기의 주성분은 탄산가스와 질소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렇다면 그 전제가 잘못된 밀러실험과 생명기원을 더 이상 연관시키는 것은 옳지 않다. 원시대기에 산소가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열기가 식어졌고, 오늘날에는 아담스와 르베리어 두사람이 발견의 공을 똑같이 나누어
인정
받게 됐다.그러나 해왕성을 제일 먼저 본 사람은 이 행성이 발견되기 2백34년 전 갈릴레이(Galilei)였을 가능성이 많다. 해왕성의 궤도 계산에 따르면 이 천체는 1613년 1월에 목성과 아주 가까이에 위치했었다. ... ...
세계 과학기술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것이다. 그 결과 오늘날 세계 각국에서 인용분석법은 신뢰도 높은 기술력 측정도구로
인정
받고 있는 것이다.일본 지배 과학기술 전분야로CHI의 최근 연구결과는 기업들이 '총체적 기술력'이라고 부르는 것을 측정하기 위해 거대한 규모의 자료를 끌어모았다. 그 방법의 핵심을 설명하면 먼저 한 ... ...
찾기 힘든 쿼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불가능한일이 되어버렸다.그렇지만 쿼크가 존재한다는 가정이 얼마나 타당한 것으로
인정
되든간에 물리학자들은 정말 그 하나만이라도 찾고싶어 한다.Two physicists from Norway, T. Overgard and E. Ostgaard of the University of Trondheim, are searching for quarks, t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의한 변이에 따라 그 기능이나 구조가 조금씩 바뀌는 것은 종(種)내에서만
인정
될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종 내에서의 작은 변이(진화론의 소진화)가 쌓여서 다른 종이 됐다고(대진화) 주장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생물의 인위적 돌연변이 실험을 거의 반세기 동안 해왔어도 단 한번도 새로운 종을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유럽기업을 물리치고 모토롤라의 기술은 일본정부로부터 차세대 이동전화의 표준기술로
인정
받게 된 것이다.일본사람들은 미국기업들이 일본의 품질과 고객서비스 수준과는 경쟁할 수 없다고 흔히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예외가 없는 것은 아니다. 일본의 세계적인 카메라메이커인 캐논의 가장 잘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는 공씨에게 강력하게 항의했다. 공씨도 자신이 쓴 책의 상당부분이 허구라는 사실을
인정
하고 서점에서 책을 거두어 들였으며 유족들과 강교수에게 사과의 뜻을 전했다.그렇다고 해서 이휘소의 죽음에 관한 모든 의혹이 말끔히 해소된 것은 아니다. 공씨는 기자와 만났을 때 "박대통령의 친서나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중 금년 1월에 세상을 떠난 바딘은 이후 72년에 저온초전도체에 관한 이론확립의 공을
인정
받아 노벨물리학상을 또 한번 수상하는 영광을 누린다. 남들은 한번도 어려운 노벨물리학상을 두번씩이나 받았다는 점에서 누구나 그가 천재이며 옆길도 돌아보지 않고 물리학연구라는 외길만을 ... ...
아인슈타인은 역시 옳았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옳았음을 추론할 수 있고 반물질은 물질 그 자체와 똑같이 인력에 반응한다는 사실을
인정
할 수 있었다.(아인슈타인의 놀라운 직관에 1점을 더 주자.)시애틀에 위치한 워싱턴대학의 에릭 아델버거와 그의 연구팀은 전혀 다른 실험을 하였다. 그들은 인력보다 약한 소위 '제5의힘' 의 존재여부를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말하면 그 오차가 무척 미세한 크기였기 때문에 뉴턴이론이 2백년 이상이나 아무 탈 없이
인정
돼 왔던 셈이다. 실제로 엄격한 정밀도가 필요하지 않은 천체(별 행성)의 운동을 설명하는 데는 오늘날에도 뉴턴이론이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그러나 우주의 역사(특히 초기의 우주)나 검은 구멍(black hole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