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승인
수긍
긍정
승낙
시인
친절
허락
d라이브러리
"
인정
"(으)로 총 3,017건 검색되었습니다.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묻혀있는 국내외 SF자료들을 찾아내는 데는 일가견이 있어 모임안에서도 '정보통'으로
인정
받고 있다.이미 89년에 '내일'이란 이름의 SF동호인을 위한 사설 BBS(Board Bulletin System, 전자게시판)를 만든 최현준씨(성균관대 수학과4년)나 같은해 PC서브에 '추·공'모임을 만들어 계속 회장을 맡고있는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특허 제33446호)을 발명한 황익현(34세)씨는 시멘트 관련제품에 관한한 자타가
인정
하는 베테랑이다. 이미 10여가지에 이르는 그의 특허가 황씨의 명성을 입증하고 있다.지난 76년에 용산공고 토목과를 졸업하고 88년까지 건설과 시멘트 관련업체에서 일한 황씨는 비싼 값으로 수입되는 대리석 타일을 ... ...
PC통신 확산의 밑거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우창진 홍정우, 4기는 '사기가 죽을까봐' 뛰어넘었다고 한다. 아직까지 정식 동아리로
인정
받지 못해 매주 토요일마다 빈 강의실을 찾아 함께 세미나를 하는 식으로 모임이 이뤄지고 있다. 토요모임에는 각자가 일주일 동안 연구한 테마를 발표하고 이를 토론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이 있으면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에 이르는 회선을 TDX계열로 대체할 방침이다.TDX개발사업이 관계전문가들 사이에서 특히
인정
받는 이유는 정부출연연구소와 산업체가 정부의 일관된 정책추진 아래 공조체제를 무난히 유지해 개가를 올렸다는 점이다. TDX-10개발에는 한국통신이 5백60억원을 내놓았고 전자통신연구소가 기본설계한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학자들 사이에서 이 에디아카라 동물군은 후생동물들이 다양해지기 시작하는 첫 단계로
인정
되고 있다. 그러나 훨씬 더 다양한 후생동물이 나타난 것은 그로부터 약 3천만년이 지난 후인 5억7천만년 전에 이르러서다.껍질파와 비(非)껍질파가 공존하고캄브리아기가 시작하는 시점인 5억7천만년 전은 ... ...
과학평론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없었다. 따라서 점점 시간이 흐른 후에는 동물학자들도 이것이 새로운 생명체라고
인정
했다. 이제 이 동물은 과학용어로는 '오르니토린쿠스 파라독시칼(새부리 파라독시칼)'이라 불린다. 그러나 일반인들에겐 '오리너구리'로 알려져 있다.(플래티푸스는 '평평한 발'이란 뜻이다).오리너구리는 ... ...
노벨의 권위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여러 이온의 합성상태를 분리해 칼슘(Ca)등 단일이온의 흐름을 파악했다는데서 독창성을
인정
받고 있다.17일 스웨덴왕립과학아카데미가 발표한 물리학 화학분야의 수상자들은 모두 이미 상품으로 실용화돼 인류생활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액정(液晶)과 자기공명영상진단장치(NMR-CT)의 이론적 기초를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무역계에서 통용되는 약품과 식품의 구별법은 이렇다. '약전에 기록돼 있고 그 효용이
인정
돼 있는 것은 약물이며 특별히 치료 목적이 아니고 일반적으로 식용에 공하는 것은 식품'으로 간주, 수출입 요령이나 관세율에 차등을 두고 있다.반 이상이 위약효과를 경험해건강식을 말하고 그 허실을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암호를 입력시켜야만 핵탄두가 발사되도록 하는 안전장치다. 암호는 발사가 공식적으로
인정
됐을 때만 고위 당국자로부터 발사 명령권을 가진 일선의 지휘관에게 알려지게 된다. 따라서 이 임의작동제한장치는 적병이나 핵탄두를 탈취한 테러리스트 또는 발사요원 개인에 의한 임의발사를 방지해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제출한 논문수가 약2천8백편으로 한국인 전체 발표 논문의 50%에 이르고 질에서도
인정
을 받고 있다. 이렇게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것이 국제과학계에서 KAIST의 지명도를 높인 것은 불문가지의 사실이며 내부에서는 KAIST 가 쌓은 무형의 자산이라고 평가하고 있다.새로 통합된 학사과정의 경우 구 ... ...
이전
252
253
254
255
256
257
258
259
2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