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지적 수학 시점] 브롤스타즈, 선의 발로 총알 잘 튕기기수학동아 l2019년 06호
- 클래시 오브 클랜을 만든 게임 회사 ‘슈퍼셀’이 슈팅 게임 ‘브롤스타즈’를 출시했다. 모드에 따라 MOBA, 배틀로얄 등의 게임 장르를 모두 즐길 수 있으니 ... 게임 중에 상대방과 내 위치가 계속 변하기 때문에 총을 쏠 지점을 찾기 어렵다는 겁니다. 수학을 이용해 정확히 계산해 볼까요 ... ...
- 오퍼튜니티, 성과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알파선과 X선으로 암석의 구성원소를 알아내는 ‘알파입자X선 분광기’와 감마선을 이용해 철의 이온 상태까지 알아내는 ‘뫼스바우어 분광기’가 쓰인답니다. 철은 물과 만나면 다양한 이온 상태로 변하거든요.이런 장비를 활용해 오퍼튜니티가 지구로 전해온 첫 번째 물의 흔적은 착륙 지점 ... ...
- [생각실험실] 순간이동을 하려다 문제가 생겼다! 누가 나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마음을 먹었다고 생각해 봐요. 그 마음에 따라서 서울에 가려고 순간이동 기계를 이용했던 거고요. 그렇다면 기계에 오류가 있다 하더라도, 서울에 만들어진 여러분의 관점에서는 본래 바라던 대로 서울에 도착한 거예요. 기계에 오류가 생겼다는 사실은 서울에 여러분이 만들어졌다는 사실과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로버·초음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발생해 그 결과, 물체 표면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떼어 낼 수 있지요.모기를 퇴치할 때도 이용해요. 피를 빠는 암컷 모기는 알을 낳을 때 수컷 모기를 피해요. 그래서 수컷 모기가 내는 초음파를 만들면 암컷 모기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답니다. ...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a의 값이 크게 다르지 않다. 물리학에서는 이와 같은 근사적인 비례 관계를 물결무늬(~)를 이용해 표시하고는 한다. 현실 사람의 경우 M~H2이다. 이와 관련해 필자가 속한 연구팀은 스웨덴 어린이들이 키가 60cm를 넘기기 시작하면 M~Hp(p=2.1)의 꼴을 잘 따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두 발로 ...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40여 종의 생물로 변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문어 껍질에 있는 색소세포(chromatophore)를 이용해 몸 색깔도 바꾼다. 색소세포는 근육 세포와 연결돼 있어 근육이 수축하거나 이완하는 정도에 따라 색이 변한다. doi:10.1098/rspb.2001.1708 인도네시아 술라웨시 해안에 서식하는 ‘코코넛 문어(Amphioctopus . ...
- 전자파, 자기장, 전기장 내 몸에 얼마나 흡수되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연구사는 “요즘에는 여러 대역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자동으로 합산하는 측정기기를 이용하고 있어 한 번에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측정에는 제품뿐만 아니라 공간도 포함됐다. 최근 점포에 많이 도입된 무인주문기, 전기자동차 실내, 가정용 이동통신 중계기, 지하철역 ... ...
- 연금술에서 과학으로 '화학 혁명' 이끈 위대한 불꽃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분리해 산소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하지만 식물의 광합성 과정을 이용하면 가시광선만 있어도 물을 분해해 산소를 얻을 수 있다.현재 전 세계 연구자들이 충분한 양의 산소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인공 광합성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 지구 밖 행성에 ... ...
- [중국유학일기] 기초과목에 집중하는 1학년 전공 역량 기르는 2학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실습 과목이 진행되는 실습실이 있다. 실습이 없는 4학년을 제외하면 이 실습실을 자주 이용한다. 평소 수업은 정보학부 강의동에서 진행된다. 회의에서는 컴퓨터공학과와 소프트웨어학과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전공과목은 어떻게 다른지, 학과별 취업 상황은 어떤지 등에 대해 상세히 ...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수학동아 l2019년 06호
- 촬영해서 픽셀의 집합을 행렬 정보로 변환합니다. 그런 뒤 ‘웨이블릿’이라는 기법을 이용해서 그림을 분석합니다. 웨이블릿은 행렬로 표현된 여러 수들을 대푯값으로 변환해 주는 함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웨이블릿 계산을 그림 전체를 나타내는 행렬에서 시작해 점차 그림의 범위를 좁히고, ... ...
이전2562572582592602612622632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