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감┃스크린에 투영된 우주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큰 역할을 했다. 판도라 위성의 기후와 환경부터 원주민인 나비족의 신경 다발을 이용한 교감 등 판도라 위성과 나비족의 생활사를 과학적이면서도 실감 나게 구성해 설득력을 더했다. 이외에도 외계 기생 생물을 다룬 ‘에이리언’, 화성인이 지구를 침공한다는 설정의 ‘화성 침공’, 외계인을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풍속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초음파 풍속계지요. 초음파 풍속계는 초음파를 쏘는 장치와 초음파를 받아들이는 장치를 이용해 초음파가 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을 계산한답니다. 또 가열된 와이어가 바람의 세기에 따라 식는 정도를 측정하거나 레이저 빛이 산란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풍속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답니다. 이 중에서 ... ...
- 피플┃우주 산업은 왜 인공위성에 주목 하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꾸준히 노력해왔다”고 평가했다.룩셈부르크 정부 투자로 1985년 설립된 SES는 위성을 이용해 전 세계에 통신, 방송, 데이터 중계 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7년 매출액은 20억 유로(약 2조6700억 원)에 이른다. SES는 1988년 첫 번째 위성 아스트라 1A를 발사하며 유럽 최초의 민간 위성운용회사가 됐다 ... ...
- 질서┃거대구조, 초은하단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반지름이 465억 광년인 구 형태로 제한된다.그간 과학자들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이용해 관측 가능한 우주 안의 별과 은하를 하나씩 그려나갔다. 그리고 이것들을 한 장의 사진에 모으자 우주의 ‘거대 구조’가 나타났다.거대 구조는 크게 둘로 나뉜다. 은하가 없는 공간은 ‘우주공동(Void)’으로 ... ...
- 후보1. 예술성·수학성 모두 갖춘 잠자리 날개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날개 무늬를 만드는 수학모형을 만들었거든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수학적인 원리를 이용해 평면을 분할한 그림으로, 건축물 디자인은 물론 동물의 무늬나 단백질 구조를 밝히는 연구에도 쓰입니다. 그리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평면에 점을 여러 개 찍습니다. 이제 점 중 가장 가까운 점 ... ...
- 탐험┃ 천왕성 & 해왕성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있다. 당연히 맨눈으로는 확인 할 수 없다. 독일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이 망원경을 이용해 1781년 천왕성 발견을 공식 발표했다. 2년 뒤 요한 엘레르트 보데가 여러 증거를 찾아 행성임을 입증했다.천왕성 내부 깊숙한 곳에는 물과 메탄, 암모니아로 이뤄진 얼음이 높은 압력에 의해 이온화된 형태로 ... ...
- 영감┃우주로 가는 탑승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공개했다. 디어문 프로젝트는 스페이스X의 차세대 재사용 로켓인 빅팰컨로켓(BFR)을 이용한다. 2단으로 이뤄진 BFR의 2단은 탑승객이 탈 수 있는 우주선인 ‘스타십’으로 이뤄졌다. 마에자와는 이 로켓을 타고 우주에 나가 6일가량 체류하는 동안 달 주위를 선회하며 예술적 영감을 얻는 디어문 ... ...
- [동아리탐방] 수학에 눈뜨자! 경희여고 MathEye수학동아 l2019년 07호
- 하지만 앞으로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학기 초에 기획한 목표 중 하나는 수학을 이용한 이모티콘 ‘매스티콘 만들기’다. 이 아이디어를 낸 3학년 공수민 양은 “일상생활에서 수학 용어나 기호가 많이 쓰이게 만들고 싶어 수학 용어를 활용한 이모티콘을 만드는 활동을 제안했다”고 ... ...
- 피플┃룩셈부르크는 왜 소행성 광물 탐사에 나섰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데에도 공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우주 연구와 탐사, 안보, 상업적 우주 이용 등의 분야에서도 보조를 맞춰 경제 성장을 위한 중요하고도 새로운 흐름을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드레이크 박사는 웨스트버지니아주의 그린뱅크 전파천문대의 지름 26m짜리 안테나를 이용해 고래자리 타우 별과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별을 탐색했다. 당연히 수 광년 떨어진 항성 두 개를 조사하는 것으로 외계생명체의 흔적을 찾을 수는 없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앨런 망원경 집합체(ATA)’라는 ... ...
이전2522532542552562572582592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