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혓바닥
설
황엽
뉴스
"
혀
"(으)로 총 283건 검색되었습니다.
열나면 메르스? 발열 증세 나타나는 질환 다양
동아일보
l
2015.06.22
주로 아침 일찍 잠자리에서 일어났을 때 측정되는 체온을 말한다. 체온은 대개 입안
혀
아래, 팔과 가슴 사이 겨드랑이, 항문 약 2.5∼3cm 안, 귀 안에 체온계를 넣어서 확인한다. 기초체온이 제각각 다르다보니 체온 변화를 인지하는 기준도 각자 다르다. 일반적으로 노인은 기초체온이 평균보다 약간 ... ...
‘허셰프’의 “신발도 튀기면 맛있다”는 말, 진짜였네
2015.06.12
6’이라는 수용체가 지방 분자를 인지해 기름을 독립적인 맛으로 구분해낸다는 사실을 밝
혀
냈다. ● “면은 찬물, 뜨거운 물 번갈아 헹궈야”…최적의 호화 상태 찾는 과정 중화요리 전문가 이연복 셰프는 면을 '뜨거운물과 찬물에 번갈아 헹궈낸다"며 자신만의 면삶기 비법을 밝혔다. - JTBC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하는 약이고 로피나비르는 에이즈 치료제다. ‘연구 한 번 주먹구구식으로 한다’고
혀
를 찰 수도 있겠지만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인 AZT는 이보다 더했다(실패한 항암제를 재활용한 것이므로). 흥미롭게도 로피나비르의 경우 사스 환자를 치료하는데 적용된 적이 있다. 즉 입원 환자 41명에게 ... ...
물고기 떼 한 입에 호로록~ 흡입하는 고래, 비결이 뭐니
2015.05.05
이 신경에 ‘스트레치 신경(Stretchy nerves)’이라고 이름 붙였다. 수염고래과 고래의
혀
에서 발견한 스트레치 신경의 모습. 원래 14cm 정도지만 잡아 당기면 30cm 이상으로 늘어난다. -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 제공 스트레치 신경은 구조도 특이하다. 신경을 중심에 두고 그 주위로 신축성이 좋은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값이 나왔다. 연구자들은 지름이 수십 나노미터에 불과한 침철석 나노섬유가 고밀도로 박
혀
있는 게 이처럼 높은 강도를 내는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할 거리가 없어 걱정일 때는 학술지를 뒤적일 게 아니라 야외로 나가 동식물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게 나을 거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수억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 Food Qual. Prefer. 제공 음식뿐 아니라 식기도 풍미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
혀
졌다. 딸기 셔벗 디저트를 검은 접시에 담느냐 흰 접시에 담느냐에 따라 단맛과 풍미에 큰 차이가 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즉 흰 접시에 담긴 디저트를 10% 더 달게 느꼈고 풍미도 15%더 풍부하다고 평가했다. 접시 ... ...
여름손님 수족구병 ‘봄의 공습’
동아일보
l
2015.03.23
걸리면 발열과 목의 통증, 식욕 부진, 피부와 점막에 수포가 생긴다. 입안에는
혀
와 구강점막에 4∼8mm의 수포나 궤양이 발생한다. 손과 발에는 작고 붉은 발진이 나타난 후 수포로 발전한다. 수포는 껍질이 두꺼워 분비물이 쉽게 터지지 않는다. 주로 손과 발에 생기지만 몸통까지 퍼지는 경우도 있다. ... ...
치아 건강에 해로운 습관 8가지...과식도 치아에 해가 될수 있다?
동아닷컴
l
2015.03.18
이를 썩게 만들 수 있으니 피해야 한다.
혀
피어싱 역시 치아 건강에 해로운 습관이다.
혀
를 뚫어 장신구를 설치하게 되면 금속성 장신구로 인해 이가 부서질 위험이 따르며 뿐만 아니라 잇몸을 다치게 할 수 있고 입안에 세균을 들끓게 해 구강 감염 위험을 높인다. 치아 건강에 해로운 습관 마지막은 ... ...
[광화문에서] 아직도 아득한 구제역 방역
2015.03.17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은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 참석한 사람들은 다들
혀
를 찼다. 4년 전 겨울 무려 145일 동안 그 난리를 쳤는데 방역 대책은 별로 나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나아진 것은 백신 접종 등 도살 처분을 줄일 수 있는 예방정책이 실시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하지만 국내 ... ...
펭귄은 ‘쓴·단·감’ 못 느끼는 ‘미맹(味盲)’
2015.02.17
이런 변화가 생겼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장 교수는 “다른 조류와 달리 유독 펭귄의
혀
에는 맛을 느끼는 감각기관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며 “음식물을 씹지 않고 통째로 삼키는 식습관도 펭귄이 미맹이 되도록 가속화한 원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셀’의 자매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