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킁킁과학] 신선하지만 누군가에겐 역겨운 오이 냄새과학동아 l2025.09.13
- 좋아하기는 어려울 테니 말이다. 아직 오이 향의 호불호를 좌우하는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인간 후각 수용체의 종류는 추측되는 것만 400가지에 달하기 때문이다. 어쨌든 오이 향은 누군가에겐 청량한 여름의 냄새가 누군가에게는 물 비린내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 ...
- [동물do감] 팔 8개 모두 활용하는 문어…앞팔은 탐색, 뒷팔은 이동동아사이언스 l2025.09.12
- 행동은 시각보다 빨판에 있는 감각기관이 주도한다"며 "각 빨판은 인간의 코, 입술, 혀가 통합된 것과 같다"고 말했다. 문어는 시각보다 촉각에 의존한다는 설명이다. 연구를 일부 지원한 미국 해군연구처(ONR)는 이번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로봇 팔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다. 붕괴된 건물 잔해 등에 갇힌 ... ...
- 주사 대신 치실로 치아 닦으면 백신 접종 끝…美 연구팀 효과 확인동아사이언스 l2025.07.30
- 실험용 생쥐의 치아 사이를 닦아 백신이 치아와 잇몸 사이 접합상피에 닿도록 했다. 혀 밑 점막이나 코 점막에 투여하는 방식과 각각 비교한 결과 치실 방식을 이용한 백신 투여 방식이 가장 강한 항체 반응을 유도했다. 치실을 이용한 접합상피 백신 투여 방식은 단백질 백신, 불활성화 바이러스 ... ...
- AI와 그래핀 결합한 전자 혀, 짠맛·단맛·쓴맛 모두 구분동아사이언스 l2025.07.10
- 그래핀 유래 물질과 기계학습(머신러닝) 기술을 결합한 전자 미각 센서가 짠맛, 단맛, 쓴맛, 신맛을 사람처럼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혓바닥.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그래핀 유래 물질과 기계학습(머신러닝) 기술을 결합한 전자 미각 센서가 짠맛, 단맛, 쓴맛, 신맛을 사람처럼 구분하는 데 성공했다. ... ...
뉴스 더보기
d라이브러리
- [기획] 풍선껌 크게 불기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풍선껌 지름 17.1cm를 기록하며 20강까지 진출했습니다. 우상민 연구원은 “풍선껌을 혀로 밀어내 공기를 불어넣을 주머니를 만들고, 일정한 힘으로 공기를 많이 불어넣으면 풍선껌을 크게 불 수 있다”고 전했어요. 롯데웰푸드는 “단순한 규칙의 게임이었지만, 참가자 모두 진심을 다해 치열하게 ...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과학동아 l2024년 04호
- 86-023-06443-4 연구팀은 앤의 뇌 피질에 253개의 전극을 이식했다. 이 전극은 얼굴, 턱, 후두, 혀 등 발성과 연관된 근육을 움직이는 부위의 뇌파를 측정했다. 그후 연구팀은 앤에게 1024개의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보여주며 따라 말하도록 훈련시켰다. 근육이 마비돼 실제로 말이 나오진 않지만, 말을 할 ... ...
- [기획] 풍선껌 알고 불면 더 커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풍선을 가장 크게 불 수 있다”고 말했어요. 다만, 이 시간을 넘으면 단단해진 풍선껌을 혀로 밀어내기 어려워지고, 풍선껌을 부는 데 너무 많은 힘이 들어가 오히려 크게 불기 어려워요. 우상민 연구원은 “많은 양의 껌을 씹어 풍선의 표면적을 넓히면 좋다”며 “추운 날씨에는 껌이 딱딱해져 잘 ... ...
- 살살 녹는 고기의 비밀은 방정식으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맛을 평가하는 조사를 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연한 정도인 연도를 55%, 혀에서 느끼는 맛과 냄새를 종합한 향미를 27%, 씹을 때 육즙이 나오는 정도인 다즙성을 18% 정도 반영해 고기의 맛을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소고기 맛 점수를 계산하는 식을 만들었다. 이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