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685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스도쿠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08.21
증명됐습니다. 미국의 수학자 케네스 아펠과 볼프강 하켄은 평면에 나타낼 수 있는 모든
배열
을 1936개의 조합으로 단순화한 뒤, 각각의 조합을 모두 네 가지 색으로 칠할 수 있음을 컴퓨터로 증명했습니다. ○ 스도쿠의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 2005년 영국의 수학자 프레이저 자비스는 스도쿠 판을 ... ...
폴더블 디스플레이 이어 붙이는 필름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1m) 정도의 패턴을 새기는 게 가능하다. 연구팀은 SEBS-g-MA에 금속 입자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
해 도전필름을 개발했다. 그 결과 기판과의 화학결합을 통해 형태를 바꿀 때 강한 결합력을 유지했고, 전기적 연결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SEBS-g-MA에 존재하는 무수말레산은 기판 간에 ... ...
구부리고 겹쳤더니 새 기능 쏙쏙... '변신의 귀재' 2차원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21.08.13
결합한 흑린과 같은 2차원 반도체, 2차원 부도체 등 다양한 소재가 발견됐다. 원자
배열
이 2차원으로 이어진 구조라 찢어지거나 깨지는 결함이 생겨도 소재 특성을 잃지 않는다. 열을 가하거나 구부리는 변형만으로도 소재 특성을 빠르게 조절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반도체 소재를 구부리면 ... ...
노벨상 수상자 예측 ‘액체 금속 전자 구조’ 한국 물리학자들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양자역학적 효과로 전자는 완전한 에너지 간극을 갖는다. 반면 원자들이 불규칙하게
배열
된 경우 전자는 불완전한 에너지 간극을 갖는데 1968년 네빌 모트는 이 현상을 ‘유사갭’이라고 했다. 결정 고체인 흑린의 전자들이 불규칙하게 분포된 알카리 금속의 원자들에 의해 ‘공명 산란’돼 액체 ... ...
구글 딥마인드AI, 인간 단백질 2만개 구조 모두 예측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AI는 이미 알려진 단백질 구조와 아미노산
배열
을 학습하기만 하면 새로운 아미노산
배열
에서 구조를 예측해낼 수 있게 된다. 알파폴드 2는 지난해 12월 단백질 구조 예측 학술대회(CASP)에서 92.4점을 받아 최고점을 기록했다. 과학자들이 예측한 기존 단백질 구조와 90% 이상 일치했다. 2년 전 CASP ... ...
원자 두께 2차원 반도체 쌓아 초격자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물질 성장법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반도체 초격자는 서로 다른 원자의 주기적
배열
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주기적인 층을 이루도록 쌓은 구조를 말한다. 각 층 두께는 수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다. 질화갈륨 등 화학물질을 수 nm로 쌓아 만드는 발광다이오드(LED)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2차원 ... ...
삼성전자, AI·로봇 등 미래 기술연구 12개 과제에 152억원 지원
연합뉴스
l
2021.07.15
위한 광원 기술의 일환인 '파장 조절이 가능한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 기반 화소
배열
형 키랄 레이저(Chiral Laser) 연구' 등 4개 과제가 선정됐다.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일환으로 2014년부터 국가적으로 연구가 필요한 미래 과학기술 분야 발전을 위해 지정테마 과제를 선정·지원하고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이 무너졌다
2021.06.24
너머로 그 발광체가 굴절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을 중력렌즈 효과라고 한다.
배열
이 잘 맞으면 고리모양의 빛을 볼 수도 있다. 이런 고리를 아인슈타인 고리라고 한다. 지구에서는 뒤편의 북한산을 보여줄 정도로 무거운 물체가 있다면 지구 자체에 난리가 나겠지만, 우주에서는 초대형 ... ...
[과기원은 지금] DGIST, 초박막 리튬 음극 제조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6.01
없어 적외선 분광법으로 확인이 어려웠다. 연구진은 빛 파장보다 작은 초미세구조가
배열
된 메타물질의 특성을 이용해 이런 한계를 뛰어넘었다. 이를 통해 2.8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의 아주 얇은 단일분자층을 검출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메소드’ 13일자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을 내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9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또 다양한 원소로 구성된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나노 결정
배열
을 초격자로 만들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나노 결정 초격자 구조는 빛 알갱이인 광자를 폭발적으로 방출하는 ‘초형광’ 특성을 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구조가 복잡하지만 응용 분야가 다양한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