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728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과학] 단 음식은 뇌를 중독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23
연구팀은 “지방과 당분이 많은 푸딩을 섭취한 그룹은 뇌의 도파민 체계가 재
배열
에 가까울 정도로 크게 변화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뇌의 변화는 무의식적으로 당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에 대한 선호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티츠마이어 연구원은 “변화된 뇌는 쉽게 ... ...
[주말N수학] 누리호에 실릴 초분광 카메라, 몰랐던 지구정보 밝힌다
2023.03.18
이유다. 영상 처리 기술 자체에도 여러 수학적 기법이 쓰인다. 영상은 픽셀들의 2차원
배열
로 이뤄진다. 픽셀마다 세분화한 대역으로 정보를 얻으면 특정 대상이나 물질을 더 쉽게 식별한다. 그런데 픽셀은 행렬로 나타내 컴퓨터로 처리한다. 행렬을 잘 다룰 줄 알아야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
[오늘과학] 건물에 칠하면 내부 온도 낮아지는 페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내는 기존의 안료 기반 페인트와 달리 친환경적”이라고 말했다. 나노 구조의 기하학적
배열
로 빛을 반사하고 산란시키며 페인트의 색을 낸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나비가 날개의 색상을 내는 방법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며 “자연계가 표현하는 색상과 색조의 범위는 놀랄 정도로 넓다”고 ... ...
양자점 발광 효율 100% 구현 초균일 반도체 껍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분자인 '리간드'가 껍질 전구체와 반응해 껍질 원자들이 표면에 흡착되고 이들이 원자
배열
이 흐트러진 비정질 분자층 상태를 거쳐 결정질 껍질로 변화하는 전 과정을 분자 수준에서 밝혀냈다. 또 분자층이 껍질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고온의 열처리가 필요한데 이 과정에서 껍질 전구체가 핵 ... ...
수소차 연료전지 발전성능 2배로...IBS 현택환 단장 연구팀
동아사이언스
l
2023.02.16
탄소 지지체 위에 두 원소를 두고 온도를 900도까지 올리면 두 금속 원소가 규칙적으로
배열
되며 4nm 크기의 나노 결정을 이룬다. 촘촘히 배치된 나노입자로 산소 기체의 이동도 용이해진다. 연료전지의 반응물로 사용되는 산소 기체의 유입이 쉬워 효율이 더욱 좋아진다는 의미다. 이온의 이동을 ... ...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화소밀도 3배 향상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9
미국 버지니아대 교수, 압달라 오가자덴 유럽 조지아공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초고밀도
배열
의 마이크로LED 수직화소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전사는 소자를 제조된 모기판에서 떼어내 원하는 표면으로 이송해 조립하는 공정법이다. LED는 칩이 작아질수록 전사 위치 정확도와 성공률이 ... ...
[잠깐과학] 1834년 2월 8일 주기율표 발견 멘델레예프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2.04
K)은 물과 잘 반응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당시 알려진 70개의 원소들을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
해 주기율표를 완성했어요. 주기율표에는 빈칸이 남아 있었는데, 멘델레예프는 이중 갈륨(Ga)과 스칸튬(Sc), 저마늄(Ge)이라는 원소의 존재를 예측했지요. 이 원소들은 나중에 실제로 발견되었답니다. ... ...
마이크로LED 픽셀 수직으로 쌓아 디스플레이 화질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만들어진 터널. 게티이미지뱅크 한국 과학자가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에서 나란히
배열
돼 있는 픽셀을 수직으로 배치해 선명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성능과 화질 개선에 정체기를 맞은 기존 LED 시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지환 매사추세츠공대 ... ...
[표지로 읽는 과학] 예상을 뛰어넘는 단백질 합성의 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1.28
등 3개 조합은 단백질 합성을 정지시키는 부호로 쓰인다. 단백질을 합성하는 3개의 염기
배열
을 '센스코돈'이라 부르고 단백질 합성을 정지시키는 UAA, UAG, UGA 등 코돈은 난센스코돈 또는 정지코돈이라 불린다. 레오시 발라섹 체코 프라하 과학아카데미 미생물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은 ... ...
'앤트맨' 구현?…미시세계 속 양자 현상 거시세계에서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3.01.27
결정 전체에 전파한다. 이와 유사하게 유체역학적 힘도 거시 입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
된 결정에서 입자들을 진동시켜 유체역학적 포논을 발생시켰다. 이렇게 생성된 포논을 분석해 보니 그래핀에서만 볼 수 있는 특정한 에너지띠 구조가 나타났다. 박 연구위원은 "양자역학으로만 설명되는 여러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