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509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구동토층 녹으면 농작물에 치명적 병원균 깨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연구팀은 알래스카 북서부 수어드 반도 카운실 지역에서 채집한 토양을 실험실로 옮긴
뒤
영구동토층을 녹이는 환경을 조성하고 90일간 세균 변화 등을 관찰했다. 동결 여부를 기준으로 위에서부터 녹아 있는 활동층, 얼었다가 녹는 전이층, 녹지 않은 영구동결층으로 구분했다. 전이층과 ... ...
"모르지? 알려줄게" 인간의 '무지' 인지하는 보노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숨겨졌는지 알거나 모르는 경우 모두 보노보에게 "포도는 어디에 있지?"라고 물어본
뒤
10초를 기다렸다. 실험 결과 보노보는 타운로우 연구원이 먹이를 숨기는 과정을 같이 본 경우에는 보통 가만히 앉아 간식을 기다렸다. 하지만 타운로우 연구원이 간식이 어디에 숨겨져 있는지 보지 못한 경우에는 ... ...
추울 때·운동할 때 흉통 심하다면 '관상동맥 죽종' 의심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회전죽종절제술은 다이아몬드 칩으로 코팅된 천공기(구멍 뚫는 기구)를 관상동맥에 넣은
뒤
고속으로 회전시켜 죽종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천공기는 탄력적인 정상 혈관은 손상을 입히지 않고 비탄력적인 죽종만 선택적으로 절제할 수 있다. 죽종을 적혈구보다 작은 미세 조각으로 갈아 없앨 수 ... ...
日 독자 GPS 속도 빨라져…대형로켓 H3 4기 연속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GPS 위성 7기 체제를 갖출 계획이다. JAXA는 미치비키를 목표 궤도에 진입시키고 점검한
뒤
미치비키를 운용할 예정이다. 이번 발사는 JAXA와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이 개발한 일본 주력 로켓인 H3의 다섯 번째 발사이기도 하다. JAXA가 2023년 3월 발사한 H3 1호기는 2단 엔진 점화 장치 이상으로 임무 ... ...
中 희토류 자원에 의존하던 영구자석 국산화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나눴다. 1단계에서는 녹는점이 높은 금속이 포함된 신물질을 영구자석에 침투시킨
뒤
상온에서 냉각처리했다. 2단계에서는 저렴한 경희토류 프라세오디뮴(Pr)이 포함된 물질을 다시 도포해 고온처리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2단계 공정은 입계확산공정에서 생기는 작은 결정이 커져 자기적 성능을 ... ...
항암제 조합·투여 농도 예측 AI 개발…"정밀 암치료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데 도움이 된다. 유전자 발현량과 같은 암세포 표현자와 약물 특성 데이터를 연결한
뒤
심층 신경망 입력 데이터로 사용해 복합 항암제의 시너지 효과를 예측한 선행 연구가 있다. 선행 연구는 두 가지 한계가 있었다. 단일 항암제와 복합 항암제 간의 직접적 연관성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과 ... ...
기억과 회상에 뇌 해마가 관여하는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3
서로 유사하게 배치되고 조화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해마가 새로운 정보를 처리한
뒤
이를 기억 형성과 통합하는 것을 돕는다는 것이다. 반면 기억 회상 공간은 기억 형성 공간과만 정렬됐고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는 공간과는 정렬되지 않음을 확인했다. 새로운 정보 처리 공간과 기억 형성 ... ...
2032년 지구 충돌 가능성 1.2% 소행성 발견…최대폭 100m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없는 0부터 인류 문명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10까지 구분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7년
뒤
지구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는 최대폭 100m의 소행성이 발견됐다. 현재 예상 충돌 확률은 1.2%, 충돌 시점은 2032년 12월 22일로 분석됐다. 1일(현지시간) 유럽우주국(ESA)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7일 칠레 ... ...
[사이언스영상] 꿀렁꿀렁 기어가는 산호
SEIZE
l
2025.02.01
해파리의 이동방식과 유사했다. 바깥쪽 조직 일부를 부풀려 바닥과의 접지력을 높인
뒤
몸을 비틀고 수축시키며 몸을 움직였다. 이동속도는 느리다. 청색광을 비출 때를 기준으로 24시간 동안 평균 43.7mm 움직인다. 루이스 연구원은 "버섯산호의 몸 크기에 비하면 큰 움직임"이라며 "이들의 이동 ... ...
[표지로 읽는 과학] 손상 없이 지구에 온 소행성 '베누' 샘플
동아사이언스
l
2025.02.01
샘플을 채취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오시리스-렉스는 총 121.6g의 베누 표면 샘플을 채취한
뒤
밀봉 과정을 거쳐 지구로 복귀했다. 이 임무의 최고 업적 중 하나는 샘플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지구에 전달됐다는 점이다. 지구로 가져오는 과정에서 오염되거나 분해되지 않도록 섬세한 보관 과정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