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509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실에서 통제 가능한 '우주현상' 구현해 인류 지식 확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할 수 있지만 레이저 장치가 충돌을 제어하기에 훨씬 용이하다." 전자가 레이저 펄스
뒤
에서 수상 레저스포츠인 웨이크보드(Wakeboard)를 타듯 가속되는 항적장가속(LWFA) 원리. 김경택 교수 제공 Q. 앞으로의 연구 계획을 소개해 달라. "우선 아토초 펄스를 구현해야 한다. 그다음 전자를 더 높은 ... ...
한반도 남부 관통 '양산단층' 일부, 지진과 기후 변화로 형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는 유공충 같은 해양퇴적물의 산소동위원소 층서로 빙하기를 나눌 때 쓰는 기준이다. MIS
뒤
에 붙은 숫자가 낮을수록 최근이다. 숫자가 홀수일 때는 '간빙기' 또는 '아간빙기', 짝수일 때는 '빙기' 또는 '아빙기'로 구분한다. MIS 4 빙하기는 빙하가 크게 확장됐던 빙기이기 때문에 강수량이 감소한 ... ...
뇌 속 조력자 성상교세포, 영양물질 재활용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확인된 것이다. 박 책임연구원은 “뇌의 건강은 신경세포뿐 아니라 성상교세포처럼
뒤
에서 돕는 세포들의 협력으로 유지된다”며 “성상교세포가 신경영양인자를 재활용하는 원리를 상세히 이해하게 되면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신경계 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 ...
"달 거대 협곡 10분만에 만들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미국 항공우주국(NASA) 달 정찰궤도선의 사진을 분석하고 달 표면 이미지를 생성한
뒤
거대 협곡을 따라 있는 분화구와 파편의 방향과 속도를 계산한 결과를 4일(현지시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달에는 미국 그랜드 캐니언만큼 깊고 긴 거대 협곡이 있다. 바로 슈뢰딩거 협곡(Vallis ... ...
국내 유일 '중증외상 수련센터' 11년 만에 문 닫는다…정부 지원금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선택해 추가로 2년간 수련, 세부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의사를 칭한다. 전문의를 취득한
뒤
전임의로 병원에 남아 세부 전공에 대한 수련을 이어가는 것이다. 정부는 그간 연간 9억원의 예산을 센터에 지원해왔다. 매년 2명 가량의 외상 전문의가 이곳에서 탄생해 지금껏 20여명이 배출됐다. 하지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美 트럼프 시대, 길잃은 전세계 공중보건
2025.02.05
나만 손해 볼 수는 없으므로) 그 결과 기후변화 등 지구촌 위기는 심화될 것이다. 역사를
뒤
돌아보면 인류의 이런 어리석음이 새로운 일도 아니라는 게 그나마 위안일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자살 고위험군에게 '힘내'란 말은 최악…"귀 기울여 공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사람이 없다거나 하는 상황을 함께 점검해주면 보호 효과를 낼 수 있다”며 “그런
뒤
정신건강복지센터, 자살예방센터 등에 연계될 수 있도록 인도해주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특정인의 말 한마디에 힘을 얻고 어려움을 극복한 사례들이 간혹 소개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자살 고위험군의 ... ...
암세포 발생 순간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분자스위치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유전자 네트워크의 컴퓨터 모델을 단일세포 유전자 발현 데이터로부터 자동 추론해낸
뒤
이를 시뮬레이션 분석해 암 가역화 분자스위치를 체계적으로 찾아내는 원천기술이다. 연구팀은 또 분자세포실험으로 대장암 세포에 개발한 기술을 적용해 암세포가 정상세포의 특징을 회복할 수 있음을 ... ...
[사이언스영상] 2분만에 침에서 바이러스 찾아낸다
SEIZE
l
2025.02.05
9와 같은 감염병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개발됐다. 실제로 기존 검사 키트는 15~20분
뒤
결과를 알 수 있었지만 이 장치로는 2분 만에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를 이끈 토니 준 황 듀크대 교수는 "앞으로 팬데믹을 대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 ... ...
[과기원NOW] '꿈의 전자기파' 테라헤르츠파 이론적 고안·검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4
강력한 레이저 펄스를 조사해 테라헤르츠파를 만드는 방법을 이론적으로 고안한
뒤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했다고 4일 밝혔다. 테라헤르츠파는 파동이 1초 동안 기가의 1000배인 테라 번 진동하는 전자기파다. 파장이 짧아 침투가 쉽고 광자 에너지는 낮아 시료 손상을 적게 입히는 전자기파지만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