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결합에너지
"(으)로 총 941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차 연료전지 촉매 1000배 이상 저렴해진다…백금 대체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22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 연료전지를 사용해 만든 자동차를 표현한 그림.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소 연료전지 촉매물질을 기존 귀금속인 백금 소재 대비 1000배 이상 저렴한 소재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KAIST는 조은애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한정우 포스텍 화학공 ... ...
[과기원NOW] KAIST, 충전시 남색 변색 스마트 투명 유연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파이 결합 간격재가 내장된 소재 이미지. KAIST 제공 ■ KAIST는 김일두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윤태광 명지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충전·방전 과정을 시각화하는 '스마트 전기 변색 아연 이온 전지'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자와 이온의 이동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파이(π) 결합 간격재' ... ...
태양열만으로 '해수담수화', 약품없이 오염물질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3.08.20
태양열로 해수담수화 공정을 진행, 오염물질을 줄이고 순수한 물을 생산한다. 게티이미지뱅크 바닷물을 가열해 순수한 물을 얻는 '해수 담수화' 공정을 더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술이 고안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는 정성필 물자원순환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해양담수화 ... ...
걷기만 해도 전기 생산… '땀' 활용한 스마트 섬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15
움직임과 땀만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스마트 의류 섬유. KIST 제공 활동 시 발생하는 땀과 움직임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스마트 의류' 섬유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송현철 전자재료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다양한 습도 조건에서도 전기를 발생시키는 스마트 의 ... ...
'우주 원자력' 경쟁 본격 시작됐다...한국도 합류
동아사이언스
l
2023.08.14
미국 항공우주국과 방위고등연구계획국의 '드라코' 프로젝트 상상도. DARPA 미국항공우주국(NASA) 원자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우주 로켓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중국은 우주 공간이나 달, 행성 등 극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우주 원자로' 개발을 진행중이다. 우주개발 선도 ... ...
美, 탄소 빨아들이는 '거대한 선풍기'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13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모습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미국 에너지부(DOE)가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이산화탄소(CO2)를 포집하는 시설을 구축하기 위해 대규모 자금을 투입한다. 12일(현지시간)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 에너지부는 거대한 팬(fan) ... ...
체온만으로 충전…웨어러블 전지 충전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27
약간의 온도차만으로도 열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온도 차이로 발생하는 열에너지만 사용해 이차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됐다. 차세대 웨어러블 이차전지 개발에 한발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현욱, 서동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목재 유전자 교정으로 친환경 종이 만든다
2023.07.26
종이소비량이 오히려 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얼마 전 TV 뉴스에서 쓴웃음을 짓게 만드는 장면을 봤다. 야당 국회의원이 자료 열람 여부를 두고 정부 산하 기관의 한 간부를 다그치자 “화면으로는 제대로 못 볼 것 같아 프린트해서 나눠 줬다”고 반박했다. 야당 의원은 “지금이 어느 시대 ... ...
차세대 이차전지 '수계아연이온전지' 상용화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5
제작된 후막 양극을 보여주고 있는 김찬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생기연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이차전지로 떠오르고 있는 수계아연이온전지의 친수성을 높이기 위한 치환반응에 성공했다. 상용화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낮은 면적당 용량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풀었다는 평가를 ... ...
[과기원NOW] 혈액 속 NK세포 완전 분리 기술, 선천 면역 치료제 상용화 기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7.21
김민석 DGIST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오른쪽)와 양소혜 석박사통합과정생이 자연살해세포를 고수율·고순도로 분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선보이고 있다. DGIST 제공. ■ 김민석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학과 교수팀이 씨티셀즈와 공동연구를 통해 자연살해(NK)세포를 고수율·고순도로 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