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d라이브러리
"
회보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성사진으로 GDP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윌리엄 노드하우스 퀴니피악대 사회학과 교수는 이 같은 공동연구 결과를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 5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 국방부가 1992년부터 2008년까지 위성으로 찍은 세계의 야경 사진을 이용했다. 수증기로 일그러져 있거나 날씨가 좋지 않은 날 같은 흐릿한 영상을 보정했다.이렇게 ... ...
수학으로 고대인구 계산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교수는 선사시대의 인구를 계산할 수 있는 수학 모델을 개발해 영국 왕립학술원
회보
에 발표했다. 존슨 교수는 이 모델이 유럽인이 정착하기 전까지 호주 원주민의 인구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했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고 주장했다. 홀로세(1만 년 전~현재) 말기의 원주민 인구수 변화는 아직 ... ...
죽은 ‘알바트로스’가 수은 중독 역사 밝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이용해 19~21세기 조류의 중금속 오염결과를 연구한 결과를 4월 1일자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워싱턴대 버크 자연사문화박물관, 하버드대 비교동물학박물관 등에 전시중인 알바트로스 25마리를 조사했다. 이 새들은 일본 오키나와에서 미국 알래스카까지 태평양 전 지역에서 ... ...
공룡화석 살펴보니… “고대 중국, 생각보다 추웠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는 이유는 추위를 견디기 위한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 3월 10일자에 게재됐다.아미오 교수팀은 “이런 종류의 공룡은 초기 백악기(125~110만 년 전)에 살았다”며 “당시 이 지역의 기온은 10℃ 정도로 서늘했다”고 주장했다. 초기 백악기에는 지구 전반에 걸쳐 ... ...
기회의 세상 만드는 마태복음 효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스탠리 교수 공동연구팀은 통계물리학을 이용한 이 연구를 지난해 12월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실었다. 정우성 교수가 직접 성공의 비밀을 설명한다.얼마 전 축구 국가대표 주장이었던 박지성 선수가 은퇴를 선언했다. '새로운 캡틴 박'의 지위는 박주영 선수가 물려받았다. 올해부터 일본 ... ...
귀로 앞을 본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는 대뇌피질에서 시각을 담당하는 부분이 활성화된 것. 이 연구 결과는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 3월 15일자에 실렸다.콜리그넌 박사는 “이번 연구는 뇌가 감각기관을 복합적으로 활용해 공간을 인지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한 것”이라고 밝혔다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사피엔스와 비슷하게 가족을 이뤘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 올해 1월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실린 연구는 심지어 며느리가 남편 집으로 시집을 온 게 아닌가 추측하게 도 하는 유전자 분석 결과가 나오기도 했어요.아, 저기 우리 할머니가 보이네요. 저를 키워주셨어요. 별로 놀라지 않네요? ... ...
슈퍼 농작물 개발법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신호를 전달하는지 분자수준에서 규명해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 1월호에 실렸다.연구팀은 ‘애기장대’에서 유전자 두 개(DELLA와 SCL3)가 상호작용하면서 지베렐린 농도를 세포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현상(항상성)을 발견했다. 지베렐린은 식물을 성장시키거나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생물학자란 사람들 정말 대단합니다. 저희 삶을 소개한 논문이 2003년 ‘미 국립과학원
회보
(PNAS)’라는 학술지에 실린 걸로 기억합니다만. 물론 달팽이도 다 농사를 짓는 건 아니고 현재까지는 바닷가에 사는 달팽이인 저희만 농부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희 학명이 리토라리아 이로라타(Littoraria ... ...
언어를 모르면 수 개념도 몰라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3보다 큰 수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지 않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 2월 7일자에 발표했다.니카라과의 청각장애인들은 수화 교육을 받은 적이 없고, 자신들이 만든 ‘홈사인’을 통해 소통한다. ‘홈사인’에는 3보다 큰 수를 가리키는 표현이 없어 실험에서 그들은 3까지는 정확하게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