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회보"(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짜르트의 레퀴엠은 파란색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음악에서 표현하는 감정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연구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1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미국과 멕시코에 거주하는 100명을 대상으로 바흐, 모차르트, 브람스가 작곡한 18가지의 클래식 음악을 들려줬다. 그 뒤 37가지 색깔 색상표에서 음악을 들으며 느낀 ... ...
- 알랑가몰라? 수영하는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몸길이 약 12~15m, 키 6m, 몸무게 6t의 거대한 몸집의 공룡 티라노사우루스(티라노)는 공룡의 대명사다.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쥬라기 공원’ 때문인지 티라노라 ... 이번 발견으로 ‘육식 공룡 수영설’이 더 힘을 얻게 된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중국과학회보’ 4월 8일자에 발표됐다 ... ...
- 과학으로 본 성공방정식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영향을 못 끼쳤다.하지만 희망도 있다. 크리스타키스 교수는 2010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논문에서 남을 돕는 이타적인 행동이나 협력도 똑같이 네트워크를 타고 3단계까지 전파된다고 밝히고 있다. 두 연구를 종합해보자. 행복한 사람 곁에는 행복한 사람이 있게 마련이고, 남을 잘 돕는 사람 곁에는 ... ...
- 사회생활 못하는 네안데르탈인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네안데르탈인은 우리보다 친구를 사귀는 데 더 서투를까. 네안데르탈인은 현생 인류보다 더 잘 보고 잘 움직일 수 있지만, 사회생활 능력은 오히려 떨어질 수 있 ... 빙하기를 극복하는 데 더 어려움을 겪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영국 왕립학 회보B’ 3월 13일자에 실렸다 ...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욕심이 많은 성격으로 묘사된다.그런데 인간은 왜 뱀을 무서워할까.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1년 11월 13일 온라인 판에는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연구가 실렸다. 사람의 DNA에 뱀에 대한 공포가 각인돼 이어지고 있다는 내용이다.토마스 헤드랜드 미국 댈러스 닐 국제연구소 연구원과 해리 그린 ... ...
- PART 4. 마음을 유전자에 담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선보였다.2012년 7월 플로이드 로메스버그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박사가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한 인공 DNA는 99.99%까지 정확하게 복제했다. 하지만 99.99%는 RNA 중합효소의 정확도에 불과하다.로메스버그 박사는 2012년 11월 ‘네이처’에서 “우리의 최고 성과가 이제 자연의 가장 못난 성과에 ... ...
- 침팬지도 중년의 위기?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오랑우탄도 중년의 위기를 겪는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 11월 19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유인원을 대상으로 행복도를 조사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연구팀은 동물원이나 동물보호소에 있는 508마리의 유인원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행복도는 가까이에서 유인원을 돌보고 있는 ...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과학동아 l2012년 12호
- 가능성이 높다. 데보라 로저스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학과 교수는 2011년 미국공공도서관회보(PLoS ONE)에 실은 논문에서 자원이 불평등한 사회가 어떻게 퍼지는지를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불평등한 사회는 크기가 작아도 인구가 불안정해 자꾸만 바깥으로 퍼져나가는 경향을 보였다. 이 말은 오늘날 ... ...
- 어릴 적 가난이 유전자에 흔적 남긴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나이, 성별이 유전자에 어떤 변형을 주는지를 알아내고 그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0월 16일자에 발표했다.살아가는 동안 사람의 유전자는 ‘메틸화’라는 과정 때문에 작동 스위치가 켜지기도 하고, 꺼지기도 한다. 그리고 메틸화는 ‘유전자 각인(gene imprinting)’이라는 과정을 통해 평생 ... ...
- 화려한 나비 날개가 품은 독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불리는 ‘고둥(Conus marmoreus)’의 독소와 같다는 연구결과를 10월 15일자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그라우시페 끝주홍나비는 날개 양 끝이 화려한 주황색이다. 날개 부분에 독이 있어 이 나비를 잡아먹는 새와 개미, 난초사마귀 등은 날개는 먹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