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술
저작
쓰기
작문
글
저서
d라이브러리
"
집필
"(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만난 뒤 14년 만에 결혼한 것이었다. 그 뒤 자넷은 인생의 반려자로서 뿐만 아니라 작품을
집필
하는 동료로서도 같이 활동하게 된다. 1980년대 후반에 발표한 SF 로봇 '노비 '(Norby) 시리즈는 두 사람이 같이 쓴 것이다. SF 최고상 휴고와 네뷸러 석권앞에서도 언급했지만, 아시모프는 우리나라에 알려진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민스키는 남아프리카 출신 수학자인 패퍼트(Papert)와 함께 '퍼셉트론'이라는 제목의 책을
집필
하였다, 퍼셉트론을 설명하고 그것을 칭찬한 것과는 전혀 거리가 먼 것이었다. 그 내용은 로젠블랫이 퍼셉트론을 이용해서 조만간에 가능할 것이라고 자랑한 여러가지 기능을 하나씩 뽑아내 그것이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들을 수밖에 없게 된다.우리 현실에 맞는 교재개발은 제대로 될지, 새로운 방향으로
집필
된 교과서가 현장 교사들의 따돌림으로 사장되지는 않을지 모르겠다. 중학교 과학교사들이 교과를 가르칠 때 자기 전공부분은 어느 정도 자신을 갖고 가르치지만 다른 부분은 결과중심의 지식을 주입하고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동일과정설의 「맹점」'과학동아'(1991년 8월호)의 '진화냐? 창조냐?' 논쟁에서 진화론측
집필
자는 "동일 과정설과 급변설은 오래전 지질학 초창기에 이미 논란되고 걸러진 문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마치 동일과정설이 지구과학과 지형학의 모든 문제와 현상을 다 설명할 수 있는 것처럼 말하면서 ... ...
비전문가의 아전인수식 해석은 곤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읽고 나는 우리나라 학계의 후진성을 실감했다.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라는 제목은
집필
자의 전공을 고려해 차라리 '핵공학은 창조론을 지지한다'로 바꾸었으면 어떠했을까. 지질학이나 고생물학에 관한 이야기를 핵공학자가 공개적으로 논단하는 현실이 안타깝다.'10문10답'에 있어서도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받아 자연과학 방면의 대학으로 진학하고 전공분야의 학위를 취득하면서 과학소설의
집필
을 시작하게 된 이른바 '과학자 작가의 제2세대'들이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이들은 새로운 흐름이라기 보다는 건즈백-캠벨-아시모프-클라크로 이어지는 정통 과학소설의 맥을 ... ...
이태규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미수(米壽, 88세를 일컫는 말)를 기념해 국내에 있는 제자들이 전기편찬위원회를 구성해
집필
한 것이다.제자들이라고는 하지만 면면을 살펴보면 이들 역시 국내 과학계의 원로급 인사들이다. 최상업(서강대 명예교수) 장세헌(서울대 명예교수) 한상준(한양대 명예총장) 김완규(전 숭실대교수) 이용태 ... ...
양자중력이론으로 우주의 실체에 접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주었다.그가 우주론에 대한 대중들의 이해를 돕기위해 수식이라고는 E=mc² 하나만을 써
집필
한 '시간의 역사'가 미국에서만 1백만부 이상 팔렸지만 실제로 내용을 읽어본 사람은 2%에 불과하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놓고 볼 때도 양자이론이 가미된 우주론의 이해가 쉽지않음을 알 수 있다.하지만 ... ...
담수어표본 50만점 기증한 생물학의 큰 스승 최기철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4시간을 맡고 있다. 강의과목은 동물생태학과 동물생리학.책도 참 많이 남겼다. 정년후에
집필
한 서적만도 23권. 최근에는 자신의 일생을 돌이켜 본 수상록을 탈고, 곧 출판될 예정이다. 원고지 1천7백매 분량인 이 책의 서명은 '푸른꿈 하얀꿈'이다.두시간여에 걸친 대화가 끝날 즈음 그는 자신의 집을 ... ...
유리인가, 슬래그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이 팀의 주축인 이철(李撤)교수는 작년에 간행(한국상고사학회 공동연구)된 '한국상고사'
집필
팀이 실행한 '고대유물 산지의 연구'에도 참가했다. 그는 여기서 최몽룡 강형태 이성주씨 등 고고학·보존과학 전공학자들과 함께 주목할만한 연구결과를 내놓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기술고고학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