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술
저작
쓰기
작문
글
저서
d라이브러리
"
집필
"(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원한 수수께끼, 성(性)의 기원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이어서 플라톤 이후 오늘날까지 이루어진 동성연애 연구에 관한 역사를 집대성하는 책의
집필
에 착수 했다. '동성애의 과학'(Queer Science)이라는 색다른 제목의 책이다. 리베이는 자신이 열세살적부터 동성연애를 해온 사실을 전혀 숨기려들지 않는다 ... ...
2. 자유분방한 학문편력 고수하는 과학계의 '이단자'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한때는 물방앗간으로 쓰였던 건물을 실험실과 연구실로 개조하여 오늘날까지 연구와
집필
에 전념하고 있다. 소속 거부하는 과학계의 자유인러브록은 이처럼 자신이 어느 대학이나 연구소에 소속되지 않음으로써 과학계의 고질적인 학문적 분파주의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사고에 젖어들 수 ... ...
「광역 초팽창이론」확립한 천문대 라대일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갖고 있지요. 그런데 그동안의 상대성이론에 관한 많은 책들은 어려운 수식 중심으로
집필
됐기 때문에 학생들이나 일반인들에게 상대성이론에 대한 컴플렉스만을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저도 공부하면서 애를 많이 먹었구요.그래서 수학적인 관점이 아니라 자연철학적인 관점, 즉 보다 넓은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8시간, 잡일과 과학연구에 8시간, 수면에 8시간을 할애했다. 잠자는 8시간은 종종 원고
집필
에 바쳐졌다. 어떤 친구가 공무원으로서 성공하는 비결을 묻자 아인슈타인은 다음의 수학 방정식으로 대답했다 한다.A=x+y+z여기서 A는 성공, x는 일, y는 놀이, z는 침묵이다.이 침묵에 주목해야 한다. ... ...
서울대 물리학과 김제완 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자기가 공부하고 있는 분야와 조금이라도 관련이 있는 일이라면 거부하지 않았다. 원고
집필
은 물론 TV 출연도 마다하지 않았고 호킹 박사를 비롯 유명한 석학들이 우리나라를 찾아 대중강연을 할 때도 궂은 일을 마다하지 않고 좇아다녔다.언제인가는 기자가 찾아가 양자역학이 어려워 잘 이해가 ... ...
SF소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그 분야에 관한 각종 정보를 꼼꼼히 수집해 두면 그 누구라도 어렵지 않게 SF소설을 직접
집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희귀본 SF를 찾아서 외국서적이나 청계천 헌책방으로 '책사냥'을 나갈 정성만 갖고 있다면. 물론 이 일은 혼자 하기보다는 동호회에 가입해 마음과 목적이 같은 사람들과 함께 하는 ... ...
동물계통분류학 대이은 김훈수·김원 부자교수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아버님이 먼저 공부하신 동물계통분류학에 제가 공부한 분자생물학의 방법론을 도입, 이 학문의 기초를 확립하는데 대해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김훈수(70 ... 있다.김훈수 교수는 요즘 연세대 원주분교에 출강하며 주로 자연생태계와 환경에 대해
집필
하는 것으로 여생을 보내고 있다 ... ...
신약개발로 각광받는 세계의 전통약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보아 한반도에서 독자적으로 전통약물이 사용됐다고 볼 수 있다.중국 양나라의 도홍경이
집필
한 본초경집주에 고구려산 인삼과 백제산 인삼이 수록돼 있는 것으로 짐작컨대 삼국시대에 이미 약물이 상당히 발달돼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특히 백제의 의료인들은 백제신집방을 간행해 국민보건에 ... ...
과학고·과기원 입시총정보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않아요?"생명과학과 정재훈교수의 말이다.정교수는 또 "현행 생물교과서는 80년대 초에
집필
된 것입니다. 화학 물리야 1980년대 이전 내용으로도 물을 것이 많지만 생물 분야는 그동안 눈부신 발전을 이룩했습니다. 따라서 신생분야인 분자생물학과 발생학에 비중을 많이 두고 있어요. 행태학과 ... ...
오늘날의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아이작은 로봇공학과 인공지능연구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나는 로봇'이야기들을
집필
함으로써 현대 로봇공학의 발전에 크나큰 기여를 한 셈이다. 필자는 이제 세상을 떠난 아이작이 실용로봇공학의 기술현황을 대신 소개해 주기를 바란다고 생각해 이 글을 쓴다.우리말로 정말 실용적이려면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