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d라이브러리
"
지층
"(으)로 총 508건 검색되었습니다.
꽃가루 화석에서 피어난 한반도 과거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사람들은 논농사에 적합한 따뜻한 곳을 찾아 ‘남쪽’으로 이동했다. 또 그 시대의
지층
에서 벼 이삭을 자를 때 사용했던 청동기 시대 유물인 반달돌칼과 삼각형 돌칼도 발견했다. 그때쯤 논농사가 우리나라에 들어왔을 것이다. 이는 꽃가루 화석으로 알아낸 논농사 시작 시기(약 3500년 전)와 ... ...
인간의 역사와 함께한 한국의 귀화식물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지리과학적 관점에서 우리 땅을 분석한다. 저자가 들려주는 각 지역의 전설과 설화,
지층
에 담긴 자연사 이야기가 300여 장의 사진과 일러스트와 함께 생생하게 전해진다.런던 자연사 박물관리처드 포티 지음 | 박중서 옮김 | 까치 | 448쪽 | 2만 원세계 최고의 자연사학자 가운데 한 명이며 ‘살아 있는 ... ...
공룡 화석 발굴 키트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같은 발굴 도구가 들어 있다. 공룡 화석이 들어 있는 점토블록은 5~6개 층이 겹겹이 쌓인
지층
이다. 그 안에 들어 있는 공룡 화석을 발굴하는 데 약 한 시간이 걸린다.점토블록을 부술 때는 깨뜨리고 싶은 부분에 끌을 대고 그 뒷부분을 망치로 두드린다. 공룡 화석은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무리하게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선 모양으로 불규칙하게 배열된 구조가 움직인다. 이것은 마치 강한 지진파가 전달될 때
지층
이 뒤틀리거나 끊어지는 모양과 유사하다.그는 이 실험을 하기 위해 두께 500nm의 알루미늄 결정 속 미세구조를 일일이 관찰해야 했다. 하지만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재료 두께의 한계는 100nm.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예다.
지층
이 만들어진 순서를 상대적으로 정할 때, 즉
지층
의 상대 연령을 결정할 때
지층
에서 관찰되는 화석을 비교하는 방법이 좋다. 먼지 속에 지구의 과거가 담겨 있는 셈이다.대기학_먼지 없인 구름 없다하늘에 떠 있는 구름은 다양한 먼지 주위에 응집한 작은 물방울의 집합체에 불과하다. ... ...
고릴라와 함께한 영장류 진화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것이다.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옛 인류는 없을까?한반도의
지층
중 사람이 살던 시대의
지층
은 대부분 3~4만 년 전인 후기 구석기 시대 이후에 생겼어요. 그래서 그보다 오래된 사람 화석은 별로 발견되지 않고 있어요. 더구나 충청도 일대 외에는 사람 뼈 화석이 잘 남는 알칼리성 토양이 없어서 ... ...
티라노사우루스류 공룡에서 최초로 위석(胃石)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오후 필자는 부긴자프 서쪽 계곡에서 타르보사우루스와 마주했다. 발가락뼈와 다리뼈가
지층
속으로 계속 연결돼 있는 점으로 보아 혹시 완전한 타르보사우루스가 묻혀 있을지 모른다는 기대감이 들었다. 아쉬움을 달래며 3차 탐사를 끝내고 돌아왔지만 내 마음은 벌써 올여름 4차 탐사 계획으로 ... ...
내 공룡 친구는 어디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크아아아~! 깜짝 놀랐지? 난 지난 11월 국립과천과학관에 찾아온 에드몬토사우루스야. 백악기 후기에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내가 한국까지 먼 길을 ... 발견된 공룡이란 의미죠. 이름에는 공룡이 발견된 지역이나 공룡이 묻힌
지층
의 이름, 그리고 공룡의 특징이 담겨 있으니 이름의 유래를 잘 ... ...
“내 안에 지진해일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을 비롯한 150여곳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습지를 이루고 있는
지층
에서 지진해일로 만들어진 흰 모래층을 발견했답니다. 지진해일이 이 지역을 덮치면서 쌓이게 된 것이지요.연구팀은 이 모래층의 아래쪽에서 또 다른 모래층을 발견해 550~700년 전과 2500~2800년 전 사이에도 큰 ... ...
하나된 유럽, 하나된 우주 유럽우주기구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가장 큰 인공위성으로, 발사하기까지 14년이란 오랜 시간이 걸렸다. 지구의 대기, 해양,
지층
등을 관측하는 환경위성으로, 태풍이나 허리케인 같은 자연재해나 기름유출 사건 같은 환경오염의 사진을 찍어 보내오고 있다. 엔비샛은 레이더를 갖추고 있어 구름이나 날씨에 상관없이 선명한 사진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