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d라이브러리
"
지층
"(으)로 총 50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석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중심으로 한 고생대
지층
과 충북 단양, 충남 보령 등 중생대
지층
, 포항의 신생대
지층
에서 나무 화석이 발견되고 있어 앞으로 연구를 기대해 봐야겠어요.자, 제 얘기는 이쯤 하고, 화석이 당시 지구의 환경에 대해 무엇을 알려 주는지 이야기해 볼게요.3억 년 전 기후를 말씀 드리겠습니다~식물의 ... ...
지금은 사라진 그때 그 동물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먼 데로 데려갔을지도 모른다.메가네우라의 화석은 1880년쯤 프랑스의 석탄기 후기
지층
에서 발견됐다. 크기만 거대할 뿐이지 생김새는 현생 잠자리와 흡사하다. 메가네우라는 다른 곤충뿐 아니라 작은 양서류도 잡아먹었다.어느 날 잠자리가 알 수 없는 이유로 몸이 거대해지는 쪽으로 진화해 ... ...
지구의 붉은 눈물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하늘 높이 25km까지 올라갔으며 일본까지 날아가 일본 동북부에 5cm가 넘는 높이의 화산재
지층
을 남겼다. 1215년의 폭발로 산꼭대기가 날아가고 남은 구멍에 물이 고여 호수로 바뀐 것이 현재의 천지다. 위대한 예측1991년 6월 12일 폭발한 필리핀의 피나투보 화산은 그 해 지구 전체의 온도를 0.5℃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지질 여행한국지구과학회 지음 | 이치사이언스 | 262쪽 | 1만 5000원특이한 해안지형이나
지층
을 비롯해 한국에 있는 대표적인 지질 학습장 9곳을 소개한다. 책의 첫머리에는 초·중·고교 과정에서 어떤 지형이 등장하는지 자세히 나와 있으며, 각 지역별로 가족과 함께 찾아갈 수 있도록 교통이나 코스,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대륙사면을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해저면의 단단한 정도를 알 수 있는 천부
지층
탄성파 장비도 실렸다. 이 장비는 해저면에 부딪혀 돌아오는 반사파를 탐지해 해저 지각이 단단한지 물렁한지 알 수 있다. 특히 해저 지각 밑에 원유나 가스하이드레이트가 매장돼 있을 경우 다른 지각보다 무르다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주 유전에는 매년 이산화탄소 3000만t이 매장되고 있다. 염수층은 석유 매장지와 달리
지층
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지난 한 세기 동안 발생한 이산화탄소 전체를 저장할 수 있을 정도로 넓다. 그러니 CCS 기술을 도입한 발전소에서 포획한 이산화탄소를 멀리 이동시킬 필요 없이 가까운 염수층에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30~60일가량 걸리지만 인천대교는 FSLM을 이용해 3일만에 상판을 이었다.교량 상부하중을
지층
으로 전달하는 하부구조인 말뚝과 교각을 하나로 만드는 파일벤트 공법도 주목할 부분이다. 말뚝과 교각을 분리해 건설하는 일반 공법보다 시공이 간편할 뿐 아니라 말뚝의 수를 줄일 수 있어 교각 1개당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지층
에서 발견됐다. 이번에 경북 군위군에서 발견된 익룡이 살았던 시대는 약 1억 년 전
지층
으로 백악기 전기에 해당한다.이는 백악기 전기에도 거대한 익룡이 존재했다는 뜻이다. 따라서 거대 익룡의 존재시기가 기존에 학계에 알려진 백악기 후기보다 상당히 앞당겨질 수 있다. 이 거대한 익룡의 ...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섬유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인류가 만든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섬유가 그루지야에 있는 줏주아나 동굴에서 발견됐다. 그루지야 국립박물관 고생물학협회 엘리소 크바바제 박사와 ... 기후 변동에도 아마 섬유가 지금까지 고스란히 보존될 수 있었던 이유는 동굴 안에 있는
지층
에 묻혀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저주파가 해저 1500m, 2000m에서 유달리 더 반사됐다면
지층
에 변화가 있다는 얘기예요.
지층
의 구조와 두께를 어렵지 않게 알아낼 수 있습니다.”다중채널 탄성파 장비가 저주파를 이용한다면 다중빔 측심기는 고주파를 이용한다. 고주파는 저주파와 달리 맨 처음 만나는 장애물에서 대부분 튕겨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