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구자
조사자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자
"(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성자 없는 기묘한 원자핵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사실을 발견했다. 테트라 중성자, 핵물리학의 큰 전환점 될 수도새로운 발견은 늘
연구자
들을 즐겁게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과학지식이 절대불변의 진리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번 발견은 핵력부터 중성자별의 모델까지 현대 물리학의 다양한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특히 ... ...
유전자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긴 비암호화 RNA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의미입니다.RNA 염기서열분석으로 긴 비암호화 RNA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자 많은
연구자
가 뛰어들었습니다. 라이덴 클러스터를 통해 확인한 결과 2070번과 192번 클러스터의 논문 발행 추이는 2010년을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192번 클러스터 역시 긴 비암호화 RNA 관련 클러스터입니다 ... ...
[2교시] 확장판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푼 수학자를 만나라!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문제를 확장한 50년 난제가 해결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 내용을 알아보고
연구자
를 만나세요. 1973년 헝가리 수학자 에르되시 팔은 확장판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를 생각했어요. 어떤 점 2개도 동시에 여러 선에 포함되지 않도록 ‘하이퍼그래프’를 그리면서 선들이 밀집되지 않게 ... ...
공룡화석이 말했다 ‘아프냐, 나도 아프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긴 공룡) 화석의 경추(목 척추)에서 이상하게 덧자란 뼈 혹들이 연달아 발견되기도 했다.
연구자
가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뼈 혹을 얇게 잘라가며 분석해보니 이 공룡이 심한 호흡기질환을 앓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추 안으로 확장된 공기주머니인 ‘기낭’에 염증이 생겨 뼈까지 손상시키면서 혹이 ... ...
[이달의 책] 화석에 담긴 1억년 전 동물들의 사생활 외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세계적인 화석
연구자
들 덕분에 밝혀졌다.저자이자 세계적인 어룡 익티오사우르스의
연구자
인 딘 R. 로맥스는 흥미로운 화석 50개를 골라 책에 담았다. 장내가스를 연구하는 플래톨로지스트(flatologist)를 비롯한 화석 전문가들의 연구도 풍부하게 담겨있다. 세계적인 팔레오아티스트 밥 니콜스가 ... ...
[과학뉴스] 티라노사우루스는 3종이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보기 어렵습니다. Q 그럼 티라노사우루스가 단일종이라는 주장이 맞는 건가요?고생물
연구자
들을 두 부류로 나눌 수 있어요. 첫 번째는 새로운 학명을 붙이려는 ‘스프린터’라는 사람들이고 두 번째는 최대한 종을 묶으려는 ‘럼퍼’들이죠. 올해 논쟁은 스프린터와 럼퍼 간의 충돌입니다.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어느 정도 자리를 잡는 것 같다”고 말했다.논문 검색하던 습관으로 소설 소재 찾아
연구자
라는 ‘본캐’는 의의로 소설가라는 ‘부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소설의 소재를 찾을 때 그는 “참신한 답이 나올 때까지 깊게 검색한다”고 말했다. 곽 작가는 “과학 쪽 일을 해오면서, 논문을 ... ...
[논문탐독] 중독에 강하거나 약하거나 우리 뇌에 달려 있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코카인에 의해 거의 활성화되지 않았습니다. 도파민 제2형 수용체 발현 따라 달랐다
연구자
들은 앞선 실험을 통해 중독된 쥐와 중독되지 않은 쥐의 측좌핵 콜린성 신경세포가 발현하는 유전자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습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콜린성 신경세포를 분리해 RNA ...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합적 호지 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다른
연구자
들을 이끌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좋은 연구를 하기를 기대합니다 ... ...
[가상인터뷰] 박테리아씨, 제 눈에 당신이 보여요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유전자 분석도 해본 뒤에야 박테리아라고 인정하셨죠. 그게 2014년이에요. 이후 여러 나라
연구자
분들이 저에 대해 연구하셨고 이제서야 세상에 소개됐어요. 어떤 특징이 있어요? 저는 다른 박테리아보다 키만 큰 게 아니라 DNA 정보도 더 많아요. 세포 안에 작은 주머니 구조인 ‘페핀’이 있고, 그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