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업"(으)로 총 3,387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큐브샛의 동력원 태양전지판을 지켜라과학동아 l2022년 11호
- 2(STEP Cube Lab-II)’에 적용됐습니다. 스탭큐브랩-2는 조선대 연구팀과 항공우주 분야 기업들이 모여 개발한 6U 규격의 큐브샛입니다. 2022년 6월 누리호에 탑재돼 발사와 상태정보 수신에 성공했죠. 이 큐브샛의 임무는 백두산 천지 관측, 산불 탐지 등 지구관측입니다. 큐브샛에는 전자광학, 장적외선, ... ...
- 노벨상 분석 보고서 I 현대 과학의 토대를 쌓은 수상자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분야에서는 슈퍼컴퓨터를 뛰어넘는 성능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구글, IBM 등 글로벌 기업에서 양자컴퓨터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현재 양자 컴퓨터의 대부분은 큐비트처럼 양자중첩을 이용한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이번 물리학상의 주제인 양자얽힘은 양자컴퓨터의 ... ...
- [기획] 내 맘대로 만들어 먹는다 3D 식품 프린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정교한 모양을 만들 수 있어서 기존 음식점에서도 사용돼요. 스페인의 3D 프린팅 기업 ‘내추럴 머신’에서 개발한 식품용 3D 프린터 ‘푸디니’는 미슐랭 가이드에 소개된 레스토랑에서 활용되기도 했죠.기후변화와 식량 위기를 해결하는 데에도 식품 프린팅이 도움을 줄 수 있어요. 2016년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방구석에서 제대로 즐기자! 메타버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또 메타버스는 나의 모든 행동이 데이터로 저장되는데, 이 데이터는 누구의 것인지, 기업이 어디까지 활용할 수 있는지 정해진 규칙이 없어요. 이 때문에 원하지 않아도 내 정보가 공유될 수 있지요. 독자 여러분들도 이번 기회에 메타버스의 시대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이때 나타나는 문제는 ... ...
- 유니콘처럼 특별해! 우리나라 ‘유니콘기업' 18개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주식을 산 사람들은 회사가 번 이익을 나눠 가져요.중소벤처기업부★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 또는 직원이 10명 이내인 작은 가게를 돕는 정부 기관이에요 ... ...
- 네, 그래서 이과가 급똥 처리 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게 중요합니다 I 존엄성을 위한 화장실 알람“우리는 인간의 존엄성을 지킵니다.”일본 기업 트리플 더블유 재팬이 2015년 개발한 ‘디프리(DFree)’의 광고 문구입니다. 디프리의 주요 기능은 화장실에 가고 싶어질 때를 예측해 알려주는 겁니다. 26g의 가벼운 기계장치를 배꼽 아래에 붙이기만 하면 ... ...
- 인공지능의 내일에는 눈과 입, 귀가 모인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두 기능을 각각 발전시켜 AI를 만들었습니다.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여러 기업에서 내놓은 AI 스피커는 사람의 말을 듣고, 내뱉습니다. 자연어처리 AI 모델에는 대표적으로 GPT-3가 있습니다. GPT-3를 활용한 영화 시나리오, 신문 기사 등을 인터넷 검색에서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한편 ... ...
- [기획] 셰프의 손맛을 그대로~ 인공지능으로 요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유통되어 조리 및 배달이 되는 모든 과정이 푸드테크입니다. 반도체나 자동차를 만드는 기업도 푸드테크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지요. 푸드테크의 범위가 얼마나 넓은지 알 수 있습니다.이진규 푸드테크, 식품공학은 사람과 아주 가깝고 철학과 인문학적인 이해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먹지 않고 ... ...
- [출동! 슈퍼M] “월드컵 대회마다 축구공이 왜 달라지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는 1970년 멕시코 월드컵부터 공식 축구공인 공인구를 사용하기로 했어요. 스포츠용품 기업인 아디다스를 통해 만든 1970년 멕시코 월드컵 공인구 ‘텔스타’는 디자인부터 파격적이었어요. 12개의 오각형 패널(조각)과 20개의 육각형 패널로 이뤄진 다면체★, 즉 삼십이면체였지요. 이 다면체는 ... ...
- [특집] 지하 1000m ‘고요’ 속 실험실 YEMILAB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책임기술원이 모형을 가리키며 설명을 이어갔다. 박 책임기술원은 “이곳은 원래 민간기업이 수십 년간 철광석을 캐던 광산이라 지하 600m까지 갱도가 뚫려있었다”며 “400m를 더 내려가는 진입 터널을 추가로 팠다”고 했다.수직거리만 따져봐도 1000m니 갈 길이 멀다. 우선 지상에서 수직 왕복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