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481건 검색되었습니다.
운석 키트
과학동아
l
201109
흔적을 남긴다. 운석을 깨뜨려보면 마찰열로 타서 검게 된 겉과 밝은 색의 속이 선명하게
구별
된다. 운석 중 일부는 독특한 내부 구조를 갖고 있어 얇게 잘라 편광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신기한 무늬를 볼 수 있다.운석을 분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구성성분으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 ...
시조새는 공룡이다?
과학동아
l
201109
비슷한 형태를 지닌 중생대 조류’들이 여럿 발견되자 이런 전통적인 구분법으로
구별
하기 애매한 지경에 이르렀다. 이 구분법을 근거로 ‘새의 조상’이 됐던 시조새의 정체가 그 어느 때보다 논란에 휩싸인 것은 물론이다.[수싱 박사팀이 공개한 샤오팅기아의 화석.]하지만 깃털공룡이 발견된 뒤 ... ...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09
비슷함을 확인했다. 에번스 교수팀은 이렇게 배아에서 얻은 세포를 배아암종(EC)세포와
구별
하기 위해 EK세포라고 불렀는데, 이때 K는 karyotype(핵형)의 k다. 핵형은 염색체의 숫자나 형태를 나타내는 말로 배아암종세포의 경우 핵형이 비정상인 반면 배아에서 확립한 세포는 정상이기 때문이다. 지금 ... ...
[수학으로 TV 보기] 복불복에서 까나리를 피하려면?
수학동아
l
201109
등장하는 복불복 게임이란 예를 들어 6개의 음료가 있는데 겉으로 보기엔 모두 같아서
구별
되지 않는다. 냄새와 맛을 봐야 까나리 액젓인지 아메리카노 커피인지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나를 고르면 더 이상 바꿀 수가 없다. 그리고는 그것이 뭐든 간에 원샷을 해야만 한다.메뉴는 물론 여러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07
한 쌍씩 있다. 어른벌레 앞날개는 흑갈색으로 날개를 접고 앉으면 낙엽과 비슷해 쉽게
구별
이 가지 않는다. 뒷날개는 검은색 태극무늬가 있는 진한 노란색이다.]고치를 짓고 안에 들어가 어른벌레가 될 때까지 잠을 자는가 하면 번데기를 거치지 않고 어른이 되는 아이가 있다. 어른처럼 다리가 6개인 ... ...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
수학동아
l
201107
무게는 모두 물체를 측정할 때 쓰는 용어지만 가끔씩 헷갈리기도 합니다. 둘을 정확하게
구별
하기 위해서는 부피를 이해해야 합니다.부피는 물체가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말합니다. 부피가 크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부피가 작으면 공간을 조금 차지하지요. 가령 한 모서리의 길이가 1cm인 ... ...
국산 수학교구, 미국 최대 수학교육컨퍼런스에서 주목받다
수학동아
l
201106
전부였다. 그러나 빨대 모양의 4D프레임 연결봉은쉽게 구부러지는 성질이 있어 안과 밖이
구별
되지 않는 클라인병 모형을 만들 수 있다. 물론 완벽한 클라인병은 아니다.강연에 참여한 교사들과 클라인병 모형을 만든 박 소장은 자신이 만든 모형을 분해하기 시작했다. 이 병을 정확하게 세로로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
수학동아
l
201106
사람을 찾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거나 아예 찾지 못한다. 이와 같이 우리 뇌는 얼굴을
구별
하는 것처럼 컴퓨터가 해결하기에 아주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매우 빠르고 쉽게 해결한다. 과학자들은 여기에 뇌만의 비법이 숨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뇌에서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알면 ... ...
오르막길 거슬러 오르는 이중원뿔의 비밀
수학동아
l
201105
삶은 달걀을
구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달걀을 돌려보면 쉽게 날달걀과 삶은 달걀을
구별
할 수 있다. 삶은 달걀은 속이 익었기 때문에 돌렸을 때 회전의 중심이 가운데로 고정된다. 즉 무게중심이 달걀 가운데에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있다. 삶은 달걀을 돌리면 달걀이 일어서서 돌게 된다.반면 ... ...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05
‘존재’가 있어 공이 통과하는 구멍앞에 숨어 있다고 하자. 이 ‘존재’는 공의 색깔을
구별
할 수 있으며, 구멍에 달린 문을 열고 닫아 원하는 공을 통과시킨다. 즉 붉은 공은 왼쪽에, 푸른 공은 오른쪽에 모이게 할 수 있다. 문을 여닫는 데 사용하는 에너지는 이론적으로 충분히 작게 만들 수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